소변백탁(小便白濁) / 소변(小便)

 익생양술에서 "백탁(白濁)"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소변백탁(小便白濁)"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오줌 빛깔이 뿌옇고 걸쭉한 병이다. 오줌이 쌀뜨물 같고 겸해서 가슴과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입이 마르고 갈증이 난다. 동의고전에는 비위의 습열이 방광에 몰려서 백탁이 생긴다 하였다. 원래 뿌옇게 흐려진 오줌을 누는 병증을 탁(濁) 또는 탁뇨(濁尿)라 하고 백탁과 적탁(赤濁)으로 나누는데, 적탁은 ‘적탁’란에 별도로 취급하였다.
소변백탁(小便白濁)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요탁(尿濁). 소변이 쌀뜨물같이 뿌옇게 흐린 병증. 폐와 방광 기분(氣分)의 열로 생김. 배뇨통은 없고, 인건구갈(咽乾口渴)이 있고, 흉완(胸脘)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설태는 누런 기름때 같음. 오래되면 심신이 피로하고, 안색이 담백하며, 맥은 연약함.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고본원(固本元)
도적탕(導赤湯)
반령환(半苓丸)
비정원(秘精元)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상표소산(桑螵蛸散)[1]
성반합분환(星半蛤粉丸)
저백환(樗柏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