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간(小兒癎) / 소아(小兒)

 익생양술에서 "[소아질환]간질(癎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소아간(小兒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경련·의식장애 등의 발작을 계속 되풀이하는 질환이다. 간·간기(癎氣)·간질병·전간·전질(癲疾)·지랄병·천질(天疾)이라고도 한다. 유전적 요인으로 오며, 그 밖에 외상 뇌종양 등 뇌의 손상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져 경직되고 수족의 경련을 일으키는 등 증상이 다양하다. 흔히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며 가슴이 답답하고 하품을 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면서 경련발작이 일어난다(대발작). 때로는 순간적인 의식장애와 무의식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소발작).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거품침을 흘리면서 경련이 풀리고 의식이 회복된다. 그러나 환자는 몹시 피곤해하며 가슴의 답답함과 두통을 호소한다. 발작할 때는 환자를 바로 눕히고 단추와 허리띠를 풀어 숨쉬기 편하게 해 주어야 한다. 얼굴은 모로 돌려 경련발작 때 이에 혀를 상하지 않도록 천이나 고무 조각을 이에 물려 주고 가래가 많이 생겼을 때는 숨길이 막히지 않도록 자주 닦아 주어야 한다.
·대발작(大發作) : 온몸에 경련이 일어나고 혼수 상태에 빠지는 매우 심한 간질발작. 10~25세 사이에 발병률이 높다.
·소발작(小發作) : 간질발작형의 하나이다. 극히 짧은 동안의 혼탁이 있어 환자는 쓰러지지 않고 담화나 일을 일시 중단하고 몇 초 동안 이상한 표정을 띠면서 입의 언저리와 눈꺼풀을 연축(攣縮)시키는 정도의 증상을 나타낸다. 주로 소아기에 많다.
·잭슨형간질 : 의식의 상실을 수반하지 않고 국한적으로 일어나는 경련이다. 신체 부위에 경련 또는 지각 이상이 순차적으로 확대되어 가는 형이다. 뇌외상·뇌매독·뇌종양 등에 의해 후천적으로 뇌조직에 기질적 변화가 생겼을 때 일어난다.
소아간(小兒癎)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어린아이의 간질. 어린아이의 혈기가 충실치 않고 신기(神氣)가 차지 않았는데 풍사(風邪)로 상하거나, 경공(驚恐)에 접촉되었거나, 유식부절(乳食不節)로 벽적(癖積)을 맺어서 일어남. 눈을 부릅뜨고 곧추 보며, 얼굴과 눈이 당기고, 입을 다물고 침을 흘리며, 배가 팽창하고, 수족축닉(手足搐搦)을 일으키며, 죽은 것 같기도 하고 산 것 같기도 함. 혹은 울거나 말을 하지 않고, 항배반장(項背反張) 또는 요척강직(腰脊强直)을 일으키나 사지는 유연하고, 땅에 업드려 거품을 토함. 때때로 발작했다가 깨어나는데, 어느 경우나 깨면 피로감만 있을 뿐 정상으로 회복됨.
질병처방 납설수(臘雪水)[4]
지룡즙(地龍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