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1) 비감(鼻疳) 또는 폐감(肺疳). 감습(疳濕). 유식부조(乳食不調), 상초옹체(上焦壅滯), 감충상식(疳蟲上蝕)으로 생김. 코안이 붉게 부어 아프고, 입술에도 헌데가 생기고, 높은 열이 나고, 많이 울고, 피모(皮毛)가 건조해 까칠해지고, 여위고, 기침이 나고, 하리(下痢)가 그치지 않음. (2) 감질 때 등과 정강이에 경련이 생기고 등이 뻣뻣해서 몸을 펴지도 굽히지도 못하는 것. |
참고 | 중의학사전(中醫學辭典) |
질병처방 | 사향산(麝香散)[2] |
승마(升麻)[2] | |
화닉환(化䘌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