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綠內障) / 안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녹내장(綠內障)"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간허예장(肝虛翳障)"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녹풍내장(綠風內障)"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청맹(靑盲)"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안구의 압력이 상승하여 시각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병이다. 시력을 잃은 눈동자의 색이 푸르게 보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초기에는 각막이 커지거나 눈이 부시고 눈꺼풀이 떨린다. 좀 더 진행하면 백탁(白濁)이 되고 계속 방치하면 실명하게 된다. 자각 증상은 가벼운 두통이 오고, 구토가 따르며, 머리가 무겁고, 전등 주위를 보면 무지개 같은 것이 보인다. 녹내장은 노인이나 여성, 원시(遠視)인 사람에게 많다.
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간신(肝腎)의 음허로 간화(肝火)가 눈으로 올라가 일어남. 백정이 충혈되고 아프며, 예막은 아직 생기지 않으나 눈이 뿌옇고, 오래되면 청맹이 됨.
질병처방 하고초산(夏枯草散)[1]
하고초산(夏枯草散)[2]
간허예장(肝虛翳障)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원예내장(圓翳內障). 목내장(目內障). 신장의 허로로 간기(肝氣)가 부족해서 일어남. 안적통(眼赤痛)이나 예막이 없고, 다만 물체가 약간 뿌옇게 보이고 눈앞에 날파리 등이 나는 것 같고 겹으로 보이며 물체의 색깔이 달라 보이고 점차 시력이 나빠짐. 오래되면 물체를 가려 보지 못함.
질병처방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녹풍내장(綠風內障)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오풍내장(五風內障)의 하나. 녹수관주(綠水灌珠). 녹수범동인(綠水犯瞳仁). 갑자기 눈동자가 커지고 푸르게 보이면서 잘 안 보이는 증. 간담경(肝膽經)에 풍열이 내습하거나, 두풍(頭風)으로 뇌가 상하여 열사(熱邪)와 더불어 눈으로 하주(下注)하여 생김. 또한 장부의 정기(精氣)가 부족하여 눈에까지 미치지 못해 생김. 초기에 눈앞에 때로 백화(白花)·홍화(紅花)가 보이고, 머리에 현훈이 오고, 이마와 코 사이가 아프고, 두 눈이 잡아당기는 듯함. 오래되면 눈동자가 연두색이 됨. 외감(外感)인 경우에는 눈등이 붉게 부으며 아프고, 내상(內傷)일 때는 대개 눈등이 붉어지거나 아프지 않음.
질병처방 영양각산(羚羊角散)[1]
영양각환(羚羊角丸)
청맹(靑盲)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흑맹(黑盲). 눈이 겉으로 이상이 없으나 점차 시력이 감퇴되는 병증. 칠정(七情)으로 간(肝)이 상해 신(神)이 흩어졌거나, 정혈(精血)이 상해 담(膽)이 휴손(虧損)되어 현부(玄府)가 막혀 빛이 밖으로 나오지 못해 일어남.
질병처방 결명자(決明子)[3]
공청(空靑)[2]
만청자(蔓菁子)[3]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상지전탕(桑枝煎湯)
석결명(石決明)
이어담(鯉魚膽)[1]
정전양간원(正傳羊肝元)
제조(蠐螬)[1]
제채자(薺菜子)
청상자(靑箱子)[2]
청양간(靑羊肝)
황련(黃連)[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