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질환]경풍(驚風) / 소아 질환

 익생양술에서 "[소아질환]경풍(驚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객오(客忤)"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내조(內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만경풍(慢驚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만비풍(慢脾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반장내조(盤腸內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천조(天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어린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의 총칭이다. 간병(癎病)·경기(驚起)·경질(驚疾)이라고도 한다. 깜짝깜짝 놀라며 고열이 나면서 갑자기 의식을 잃고 경련을 일으키는데, 크게 실증(實症)에 속하는 급경풍과 허증(虛症)에 속하는 만경풍으로 나타난다. 발열, 어린이 폐렴, 중독성 장염, 유행성 뇌막염, 뇌척수 질환 등 때 볼 수 있다. 경풍은 소아 질환 가운데 가장 응급한 질병이라 할 수 있는 위험한 병증이다.
·급경풍(急驚風) : 외부의 자극으로 갑자기 일어나는 어린아이의 경풍이다. 갑자기 심하게 놀라거나 무서움을 받았을 때 생기며, 너무 많이 웃었을 때에도 올 수 있다. 갑자기 열이 높아지면서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불안해하며 자주 놀라고 얼굴과 입술이 벌개진다. 팔다리가 싸늘해지며 의식이 혼미해지고 숨이 차다가 경련을 일으킨다. 경련이 일어나면 팔다리가 오그라들고 눈을 치뜨며 이빨을 악물고 거품침을 게운다. 경련이 심해지면 몸을 뒤로 젖힌다. 경련발작이 왔다갔다하는 경우도 있고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아주 심한 경우에는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급성 열성 질병, 뇌막염, 뇌염, 유행성 뇌척수막염 등의 경련이 포괄된다고 본다.
·만경풍(慢驚風) : 어린아이가 중한 병에 걸리거나 병을 오래 앓는 경우에 비기가 허하고 간기가 성해지거나 음허(陰虛)·양허(陽虛) 등으로 생긴다. 천천히 발병하고 열이 없으며 경련이 일어났다 멎었다 하고 병이 완만하게 진행되는 것이 만경풍의 특징이다. 비기가 허할 때는 의식이 선명하지 못하고 자려고만 하는데 눈을 뜨고 잔다. 얼굴색은 누르스름하고 대변은 벌건빛이 은은하며 손발이 차고 때로는 경련이 일어난다. 양허로 왔을 때는 정신 상태가 몹시 지둔하고 얼굴이 희끄무레하며 이마에 식은땀이 나고 손발이 차며 혼수에서 잘 깨어나지 못하고 손가락 떨림과 가벼운 경련이 있으며 대변은 묽다. 음허로 생겼을 때는 속이 달아오르고 피로해하며 얼굴은 희끄무레하고 때로 벌게지며 땀이 쉽게 나고 경련은 심했다가 가벼워졌다 한다.
객오(客忤)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중객(中客). 중인(中人). 중악(中惡). (1) 소아가 갑자기 놀란 것이 원인이 되어 생긴 병증. 소아의 신기(神氣)가 허약한 데에 낯선 사람, 물체, 소리, 빛 등 자극으로 생김. 얼굴이 창백하고, 청황백색의 물을 토하고, 거품침을 뱉고, 숨이 차고, 배가 아프며,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얼굴이 오색으로 변하고, 지체가 경련을 일으킴. 단지 눈을 치뜨지 않고, 맥은 대개 현(弦)·삭(數)함. 심하면 심복(心腹)이 창만하고 쥐어짜듯 아프며, 기가 심흉에 치밀어 오름. 서둘러 고치지 않으면 죽을 수도 있음. 소아객오(小兒客忤). (2) 소아의 낯가림. 대부분의 아이에게 보이나, 정신병의 일종일 수도 있음.
질병처방 도노원(桃奴元)
백강잠(白殭蠶)[3]
비급환(備急丸)[1]
사향(麝香)[7]
웅사산(雄麝散)[2]
태을신정단(太乙神精丹)
호골(虎骨)[2]
환혼탕(還魂湯)
황토산(黃土散)
내조(內釣)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경조(驚釣). 태중(胎中)에 풍사(風邪)를 받고 또 외부에서 경사(驚邪)를 받아 일어나며, 또한 유모의 울노(鬱怒)로 간(肝)에 열이 쌓여서 생김. 기침과 복통이 심하고, 발작 때 꼽추처럼 등을 구부리고 울며, 입술이 검고, 음낭이 붓고, 전신에 근육경련을 일으키고, 놀라서 소리를 지르고, 수족이 뻣뻣하며, 발작적이고, 눈이 충혈되고, 출혈반이 나타나고, 간혹 다리에 경련이 일며, 설사하고, 대변이 청색임.
참고 의종금감(醫宗金鑑)
질병처방 조등고(釣藤膏)
만경풍(慢驚風)
계통 풍(風)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천조풍(天吊風). 만풍(慢風). 경풍(驚風)의 일종. 만성적인 근육경련. 소아가 학질, 설사, 이질 등 오랜 병을 앓았거나, 두진(痘疹)·마진(麻疹) 후에 풍한(風寒)이나 음식 적체로 손상되거나, 선천적으로 허약하거나, 급경풍(急驚風) 등에 약을 너무 강하게 썼거나, 조섭을 잘 못하여 비위(脾胃)의 기(氣)가 허해 생김. 심신(心神)이 혼미하고, 기천(氣喘)하고, 간혹 크게 열이 나서 내리지 않고, 눈을 뒤집고, 수족에 추축(抽搐)이 일어나고, 오한으로 떨다가 열이 나기도 하고, 얼굴색이 담백청황(淡白靑黃)하고, 혹은 대소변도 청백(淸白)하며, 배가 꺼져 들어가고, 호흡이 미약하며 완만함. 토사로 생기면 근육이 이완되고, 자꾸 자려고만 하고, 눈을 뜬 채 자며, 얼굴이 누렇고, 손발이 차고, 때로 경련을 일으킴. 급경풍으로 생기면 변비, 소변실금 또는 소변불리 등이 있고, 땀이 많이 나고, 혀가 붉고, 눈이 부셔서 밝은 것을 잘 못 보고, 신체가 강직하고, 경련을 일으키며, 심하면 언어착란이 발생함.
참고 소아약증직결(小兒藥證直訣)
질병처방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2]
관음산(觀音散)
남성음(南星飮)[2]
동과인(冬瓜仁)[2]
방풍원(防風元)
백출산(白朮散)[4]
벽손정자(辟巽錠子)
보명단(保命丹)
보비탕(補脾湯)[2]
보생단(保生丹)
비급환(備急丸)[2]
삼미천장자산(三味天漿子散)
삼출반하탕(蔘朮半夏湯)
선갈산(蟬蝎散)
성비산(醒脾散)
성향산(星香散)
신효산(神效散)[3]
쌍금환(雙金丸)
양유방(釀乳方)[1]
연생단(延生丹)
오갈산(烏蝎散)
온백환(溫白丸)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은백산(銀白散)
익황산(益黃散)[2]
작옹(雀甕)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주분산(朱粉散)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천금산(千金散)[2]
체경산(嚔驚散)
탈명산(奪命散)[6]
탐생산(探生散)
팔선산(八仙散)
황기탕(黃芪湯)[6]
만비풍(慢脾風)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비풍(脾風). 만경풍(慢驚風)의 하나. 만경(慢驚)이 오래되어 토사(吐瀉)로 비(脾)를 손상해서 생기거나, 오랜 설사로 몸이 허약해 발열하여 생김. 얼굴이 창백하고, 이마에 땀이 나고, 혀가 수축하고, 머리를 못 들고, 수면 중 눈을 뜨고 머리를 흔들며 혀를 입밖으로 내밈. 또 몸은 차거나 따뜻하고, 손발이 싸늘하고, 약한 경련이 나고, 비린내 나는 것을 자주 토하고, 이를 악물고 입을 다물어 벌리지 못하고, 설사를 하며, 맥은 침(沈)·미(微)함.
질병처방 갈부산(蝎附散)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생부사군자탕(生附四君子湯)
흑부탕(黑附湯)
반장내조(盤腸內釣)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급경풍(急驚風)의 하나. (2) 반장기통(盤腸氣痛)과 같음. 갓난아이를 목욕시킬 때에 풍랭(風冷)을 감수하여 일어남. 또 유모의 음식정체(飮食停滯)나 소장열(小腸熱)로도 일어남. 배가 아파 허리를 구부리고, 눈물 없이 울고(乾啼), 이마에 땀이 나고, 얼굴이 창백하며, 입술이 시커멓고, 푸른 대변을 봄.
질병처방 유향산(乳香散)[4]
천조(天釣)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천조(天弔). 천조풍(天釣風). 천조경풍(天釣驚風). 소아경풍(小兒驚風)의 하나. 흉격(胸膈)에 사열(邪熱)이 막히거나 담연(痰涎)이 온적(蘊積)해 잘 통하지 않거나, 또는 유모가 술을 마시거나 고기를 먹어서 번독(煩毒)의 기가 젖에 유입되어 아기에게 숙체(宿滯)가 없어지지 않고 사열독기가 심(心)을 쳐서 일어남. 경계(驚悸)가 있고, 장열(壯熱)이 나고, 두 눈을 뒤집고, 눈물이 나지만 흐르지는 않고, 수족축닉(手足搐搦)을 일으키고, 못이 뻣뻣해지고, 담명(痰鳴)이 있고, 심하면 손·발톱이 자남색으로 변하고, 때없이 울어댐.
참고 유유근편(幼幼近編)
질병처방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
저유즙(猪乳汁)
조등산(釣藤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