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심장병·신장병 또는 국부의 혈액 순환의 탈 등으로 전신이나 국부의 살 속이 붓는 병증이다. 부증(浮症)이라고도 한다. 신체 조직 속에 임파액(淋巴液)이나 장액(腸液)이 많이 고이면 몸이 부어오르게 되는데, 살갗이 들뜬 것처럼 되어 부드럽지 않고 탄력이 없어 손가락으로 누르면 살이 쑥 들어가 자국이 오래 남는다. 살찌는 것은 지방분이 늘어나는 것이고, 붓는 것은 몸 속의 수분 즉 세포 외의 부분이 늘어나 조직의 기능이 장애를 일으키는 증세이다. 때문에 부었을 때는 살을 손가락으로 눌러 보면 우묵하게 들어간 채 쉽게 원상태로 돌아오지 않는다. 부종에는 얼핏 보아 모를 정도의 부종에서부터 내장에 부종이 생기는 중증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단계가 있어서 부종을 일으키는 상태나 원인도 대단히 복잡하다.
·실종(實腫)의 부종 : 손가락으로 누르면 들어가지만, 손을 떼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대개 대변이 굳고 변비가 있는 경우이다. 낫기 쉽다.
·허종(虛腫)의 부종 : 부종이 있고 설사가 나는 경우이다. 낫기 힘들다.
·심장성부종 : 심장에 이상이 생겼을 때 신체의 하부에서부터 붓기 시작한다.
·신장성부종 : 신장염이나 네프로제에 의해 일어나며, 눈 주위가 제일 먼저 붓는다.
·영양장애에 의한 부종 : 각기·소아각분(小兒殼粉)·영양실조·단백질결핍 등으로 일어난다.
·악액질성부종(惡液質性浮腫) : 악성종양(암)·결핵·당뇨·빈혈 등에 의하여 생긴다.
·혈관운동성부종 : 안면이나 점막의 신경마비에 의하여 생긴다.
·내분비성부종 : 월경 때나 폐경 때에 나타난다.
·간장성부종 : 간장장애에 의하여 부종이 생긴다.
·국한성(局限性)부종 : 각종 염증으로 국부에 부종이 나타난다.
·산후부종 : 산후에 여자의 질 밖으로 흐르는 분비물이 나오지 않아 일어난다.
·임신중부종 : 만성신장염의 부종으로 주로 하반신에서 일어나며 발이 무겁다.
·일음증(溢飮症) : 몸속의 수분이 땀이나 오줌으로 배설되지 못하여 몸이 붓고 아픈 병. 몸이 무겁고 아프며 팔다리가 붓는다.
수종(水腫)
계통 | 부종(浮腫)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수종(水腫). 수기(水氣). 수병(水病). 부종(浮腫). 수습(水濕)이 정체(停滯)해 얼굴, 사지 및 흉복부, 심하면 전신에 부종을 일으키는 것. 비(脾)·폐(肺)·신(腎) 3장의 병임. 폐기가 허하면 기가 정(精)을 수(水)로 변화시키지 못하고, 비가 허하면 수를 제어하지 못하고, 신이 허하면 수가 있을 곳이 없어 이리저리 흘러다니다가 귀경(歸經)하지 못하고 거슬러 올라 퍼져서 비로 들어가고 기육(肌肉)에 넘쳐 부종이 되고, 폐에 들어가서 기천(氣喘)이 발생하는데 이는 실증(實證)임. 허증(虛證)은 비위양허(脾胃陽虛)로 수습을 운화하지 못해 발생함. |
질병처방 |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계시(鷄屎)[1] | |
누고(螻蛄)[4] | |
대귤피탕(大橘皮湯)[2] | |
도제고(塗臍膏) | |
도체통경탕(導滯通經湯) | |
마황감초탕(麻黃甘草湯) | |
백출(白朮)[6] | |
보중치습탕(補中治濕湯) | |
복원단(復元丹) | |
분기음(分氣飮) | |
삼인원(三仁元) | |
상백피(桑白皮)[4] | |
소하병(消河餠) | |
신조산(神助散) | |
실비산(實脾散) | |
실비음(實脾飮) | |
오피산(五皮散) | |
월비탕(越婢湯)[2] | |
적소두(赤小豆)[7] | |
적소두탕(赤小豆湯) | |
정력목향산(葶藶木香散) | |
정력자(葶藶子)[5] | |
침향호박환(沈香琥珀丸) | |
택사산(澤瀉散) | |
퇴종탑기산(退腫塌氣散) | |
하마(蝦蟆)[1] | |
황미환(黃米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