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독(胎毒) / 소아(小兒)

 익생양술에서 "매독(梅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태독(胎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트레포네마 팔리둠의 감염에 의하여 생기는 만성전염병으로 성병의 하나이다. 흔히 환자의 음부에 발병한다. 한방에서는 창병(瘡病)·당창(唐瘡)이라 하는데, 창양의 겉모양이 양매와 비슷하다 하여 양매창(楊梅瘡)이라고도 한다. 성교를 통한 감염률이 가장 높고, 입으로도 전염되며 선천적으로 태아가 모체로부터 감염되기도 한다. 음부에 응어리가 생기는 제1기, 피부에 홍반이 생기는 제2기, 피부·장기 등에 고무종(種)이 생기는 제3기, 신경계가 침해되는 제4기로 크게 나눈다. 심하면 폐인이 되고 사망에 이르는 위험한 전신성 질환으로, 잠복기는 일정하지 않아 3주 정도인 경우도 있으나, 3~6년 만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3주간의 잠복기가 지나면 남자는 음경의 관상구(冠狀球)에, 여자는 음순이나 음부에 처음에는 팥알 크기의 응어리(硬結)가 생기는데 통증은 없다. 이 때 완치되지 않으면 3~6년 후에 가슴·배·손·발의 관절 부위에 백색이나 장밋빛 등 여러 가지 빛깔을 띤 발진이 난다. 제3기는 종기에서 고름이 나고 피부로 확대될 뿐만 아니라 대동맥·뇌동맥·심장·간·장 등에 맹독성 균이 번져 나가 코가 없어지거나 눈이 실명되는 등의 증상이 생겨난다. 선천성매독은 생후 3개월 이내에 2~3기로 진행되어 발육부진과 주름살 또는 기능장애, 눈·귀·치아 등의 발육부진을 가져와 정상적인 성장을 어렵게 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태독(胎毒)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태아가 부모의 몸 안에서 유전 받은 열독(熱毒). 태독발단(胎毒發丹), 태독창양(胎毒瘡瘍), 태독나력(胎毒瘰癧)이 있음. 뜨거운 물에 자주 목욕하거나, 유모의 칠정내열(七情內熱)로도 생김.
참고 유유집성 (幼幼集成), 외과계현(外科啓玄)
질병처방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9]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