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눈(眼)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물체가 뚜렷이 보이지 않는 것. 오랜 눈병으로 시력이 모상(耗傷)되거나, 눈병 치료를 잘못하여 정혈(精血)이 손상되거나, 눈을 지나치게 많이 썼거나, 울거나, 감정 변화가 심하거나, 열기(熱氣)로 현부(玄府)가 막혀 기혈의 승강이 안되는 등 모두 혈휴기약(血虧氣弱)으로 발생함. |
질병처방 |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
기령환(杞苓丸) | |
달담(獺膽) | |
만청자환(蔓靑子丸) | |
보신환(補腎丸)[2] | |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
오웅계담즙(烏雄鷄膽汁) | |
인뇨(人尿)[1] | |
토간(兎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