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우신염(腎盂腎炎) / 비뇨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신우신염(腎盂腎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고림(膏淋)"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습열요통(濕熱腰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신옹(腎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신장 안에 있는 빈 공간을 신우라 하는데, 오줌이 여기에 모여졌다가 방광으로 빠져 나간다. 신우신염은 신우염이 생기고 그것이 신장에 번지는 염증을 말한다. 신우신염은 매우 흔한 신장 질환의 하나로, 특히 젊은이나 중년 성인(16~45세)에게 흔하며, 여성의 발병률이 훨씬 더 높고 세균의 감염에 기인한다. 성인의 신우신염은 신장 주위에 심한 통증을 유발하므로 즉시 진단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치료만 받으면 신장에 장기적으로 손상을 주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어린이의 경우 신우신염의 증상이 모호하게 나타날 수 있어 심각한 신장 손상을 입을 수 있고 결국엔 신부전(腎不全)을 초래할 수 있다.
·신우염(腎盂炎) : 주로 대장균에 의하여 신우에 일어나는 염증이다. 오한이 나고 떨리면서 열이 오르고, 오줌에서 다량의 단백질이 배출된다. 염증이 신장 실질(腎臟實質)에 미친 것을 신우신염이라고 하나, 실제로는 염증이 바로 신장에 미치므로 신우염과 신우신염은 그다지 구분하지 않고 쓰인다.
고림(膏淋)
계통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내림(內淋). 소변이 쌀뜨물 같고 시원히 안 나오는 병증. 대개 신허(腎虛)로 정액을 제어하지 못해, 또는 소변에 따라 나오거나, 습열(濕熱)이 하초(下焦)에 몰려 방광의 기화(氣化) 작용을 장애하거나, 오랜 병으로 비신(脾腎)이 허해서 생김. 실증(實證)은 소변을 볼 때 따갑고 아프며 잘 안 나오고, 열이 나고, 허리와 머리가 아픔. 허증(虛證)은 작열감 없이 아프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이명(耳鳴)과 현훈(眩暈)이 따름.
질병처방 녹각상환(鹿角霜丸)
습열요통(濕熱腰痛)
계통 허리(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습열사(濕熱邪)가 허리의 경락을 막아 생긴 요통. 허리 부위에 열감이 있으며 쑤시고 아픔. 소변이 단적(短赤)하고, 설태는 황니(黃膩)하고, 맥은 현(弦)·삭(數)함.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으로 나눔.
질병처방 외신산(煨腎散)
외신환(煨腎丸)
칠미창백산(七味蒼柏散)
신옹(腎癰)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신장(腎臟)에 생긴 옹(癰). 신기(腎氣)가 쇠패(衰敗)해져서 발생함. 옹이 생기는 곳은 내신(內腎)과 상대되는 곳임. 경문혈(京門穴) 부위가 약간 부어오르고 은근히 아파 허리까지 미침. 또 아랫배와 옆구리가 그득할 때도 있음. 피부가 도드라지고 붉으면 쉽게 낫고, 검게 함몰되면 낫기 어려움.
참고 영추경(靈樞經)
질병처방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