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Hordei Fructus Germinatus |  
| 약재의 효능 | 
건비개위(健脾開胃)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행기소식(行氣消食)
 (기(氣)를 소통시키고 식사한 것을 소화시켜주는 효능임)
 |  
 | 
퇴유소창(退乳消脹)
 (젖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하고 정체되어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  
 |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  
 | 
낙태(落胎)
 (낙태(落胎) 시키는 효능임)
 |  
 | 
건비화적(健脾化積)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적(積)을 없애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 성미 | 
감(甘)
, 평(平)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  
| 독성 |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su, H., Oriental Materia Medica, A Concise Guide. Long Beach; Oriental Healing Arts, 1986.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
, 식적(食積)
 | 
 |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 
식상(食傷)
 | 
 |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 
 |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 
 |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 
 |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 
 | 
계비원(啓脾元) / 
불능식(不能食)
, 비위불화(脾胃不和)
 | 
 |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 
 |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 
 |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 
허손(虛損)
 | 
 | 
국얼기출환(麴蘖枳朮丸) / 
식상(食傷)
 | 
 | 
국얼원(麴蘖元) / 
주벽(酒癖)
 | 
 |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 
 |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
, 인사불성(人事不省)
 | 
 |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
, 적취(積聚)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기체복통(氣滯腹痛)
, 식적복통(食積腹痛)
 |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 
 | 
백출복령탕(白朮茯苓湯) / 
식비(食痺)
 | 
 | 
별갑환(鱉甲丸) / 
학모(瘧母)
, 해학(痎瘧)
 | 
 | 
보비탕(補脾湯)[1] / 
비허(脾虛)
 | 
 | 
보화환(保和丸)[1] / 
적취(積聚)
, 비괴(痞塊)
 | 
 | 
보화환(保和丸)[2] / 
식적(食積)
, 주적(酒積)
 | 
 | 
보화환(保和丸)[3] / 
식적(食積)
, 주적(酒積)
 | 
 |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3] / 
식비(食痺)
 | 
 | 
비아환(肥兒丸) / 
감질(疳疾)
 | 
 | 
사보단(四寶丹)[1] / 
황달(黃疸)
, 달벽(疸癖)
 | 
 |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삼릉전(三稜煎)[2] / 
기괴(氣塊)
, 혈가(血瘕)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 
 |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
, 방광병(膀胱病)
 | 
 |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위단(生胃丹) / 
비위허약(脾胃虛弱)
, 불사식(不思食)
 | 
 |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 
 |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
, 탄산(呑酸)
, 허비(虛痞)
 | 
 |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 
 |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 
 | 
소식환(消食丸) / 
식적(食積)
, 숙식(宿食)
, 유적(乳積)
 | 
 |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기혈응체(氣血凝滯)
, 식적(食積)
, 담음(痰飮)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 
 | 
아위환(阿魏丸)[1] / 
육적(肉積)
, 식적(食積)
 | 
 | 
양비환(養脾丸) / 
식상(食傷)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 
 |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 
 | 
오매모과탕(烏梅木瓜湯) / 
주갈(酒渴)
 | 
 |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 
 |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 
담적(痰積)
 | 
 | 
육신환(六神丸) / 
이질(痢疾)
 | 
 | 
음학환(陰瘧丸) / 
해학(痎瘧)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 
 |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 
 |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 
 |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 
 | 
제고보명단(諸蠱保命丹) / 
지주고창(蜘蛛蠱脹)
 | 
 |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
, 반위(反胃)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 
 | 
치황달애끽잡물일방(治黃疸愛喫雜物一方) / 
담벽(痰癖)
 | 
 |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 
 | 
퇴금환(褪金丸) / 
황종(黃腫)
 | 
 |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 
 |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 
복창(腹脹)
, 비위허한(脾胃虛寒)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탄산(呑酸)
, 조잡(嘈雜)
 | 
 |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 
 |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 
 |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 
 | 
향릉환(香稜丸) / 
오적(五積)
, 육취(六聚)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 
 |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 
 | 
후박전(厚朴煎) / 
변혈(便血)
, 하혈(下血)
 | 
 |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