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염(白鹽) / 소금
    
 

 익생양술에서 
"소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염(白鹽) / 소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 분포 | 서해안, 남해안 | 채취기간 | 수시 | 
| 키 | null | 취급요령 | 천일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사용한다. | 
| 생지 | 염전 | 성미 | 차며, 짜다. | 
| 분류 | 식품, 화학원료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null | 1회사용량 | 1~10g | 
| 약효 | 소금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하얀색의 짠맛이 나는 입방체의 결정으로, 학술 용어로는 염화나트륨이라고 한다. 바닷물에는 천연 상태로 약 2.8%가 들어 있으며, 암염(암염)으로도 난다. 인체의 혈액이나 세포 안에 약 0.17%가 들어 있으며 어른의 하루 평균 소모량은 10~20g이 된다. 용도가 매우 넓어서 양념, 방부제로 쓰며 공업용으로 가성소다, 탄산소다, 염소, 염산 등의 제조원료로 쓴다.
 
 
 
     
 
 
 
 
 
 
 
 
 
 
 
 
 
 
 백염(白鹽) / 소금
백염(白鹽) / 소금
 
| 라틴명 | Sal | 
| 약재의 효능 | 양간명목(凉肝明目)
 (간(肝)기능을 맑게 하여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방광(膀胱)
, 신(腎)
, 심(心) | 
| 성미 | 한(寒)
, 함(鹹)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격피취농법(隔皮取膿法) / 
옹저(癰疽) | 
|  | 백염(白鹽)[2] / 
주사비(酒齄鼻) | 
|  | 백염(白鹽)[3] / 
치근동요(齒根動搖)
, 아선(牙宣) | 
|  | 빙매환(氷梅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 
|  | 옥설탕(沃雪湯)[1] / 
풍습(風濕)
, 두목현훈(頭目眩暈) | 
|  | 찰아지통방(擦牙止痛方) / 
치통(齒痛) | 
|  | 초염산(椒鹽散) / 
아주공(牙蛀孔) | 
|  | 통관산(通關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