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몽석(靑礞石) / 면니석
| 라틴명 | Chalcocitum |
| 약재의 효능 | 타담(墮痰) (담을 강하게 깨뜨려 빼내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 진겁(鎭怯) (두려워 하는 것을 편안하게 진정시키는 효능임) | |
| 청양(淸陽) | |
| 정경소담(定驚消痰) (놀란 것을 그치게 하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임) | |
| 작용부위 | 간(肝) , 심(心) |
| 성미 | 감함(甘鹹) , 평(平) |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허한구병(虛寒久病), 기약비허(氣弱脾虛)한 경우에는 쓰지 말 것. |
| 약재사용처방 | 곤담환(滾痰丸) / 습담(濕痰) , 열담(熱痰)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 목향화중환(木香和中丸) / 담적(痰積) | |
| 소화환(消化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 담괴(痰塊) | |
| 청몽석(靑礞石) / 식적담수(食積痰嗽) | |
| 청몽석환(靑礞石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 |
|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전간(癲癎) , 경광(驚狂) |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 축보환(丑寶丸)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 탈명산(奪命散)[6] / 급경풍(急驚風) , 만경풍(慢驚風) | |
| 파결단(破結丹) / 양독결흉(陽毒結胸) , 음독결흉(陰毒結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