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골지(補骨脂) / 개암풀 열매
보골지(補骨脂) / 개암풀 열매
| 라틴명 | Psoraleae Semen | 
| 약재의 효능 | 염정신(斂精神) (정신을 추스리는 효능임) | 
| 축냉기(逐冷氣) (냉기를 쫓아내는 효능임) | |
|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 난단전(暖丹田) (단전(丹田)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 온명문(溫命門) (명문(命門)의 상화(相火)의 기운을 보태주는 효능임) | |
| 장원양(壯元陽) (원양(元陽)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 |
| 납기(納氣) (신(腎)에서 폐(肺)에서 흡수한 기운을 받아들이는 효능임) | |
|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 |
| 장화익토(壯火益土) (화기(火氣)를 보충하여 상생(上生)작용으로 토기(土氣)의 영양을 유도하는 효능임.) | |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 성미 | 고신(苦辛) , 온(溫)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음허유화(陰虛有火), 몽설요혈(夢泄溺血), 대변폐결자(大便閉結者)는 복용하지 말 것.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보골지(補骨脂) / 골수상패(骨髓傷敗)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