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각(蜆殼) / 재첩

익생양술에서
"재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현각(蜆殼) / 재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 분포 |
섬진강, 낙동강, 한강 |
채취기간 |
봄~가을 |
| 키 |
1.5cm |
취급요령 |
탕으로 하여 쓴다. |
| 생지 |
강의 모래 속 |
성미 |
null |
| 분류 |
이매패류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산란 |
1회사용량 |
적당량 |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장복해도 무방하다. |
특징 및 사용
작고 까만 조개로 한강, 금강, 낙동강 하류에서 잡히며, 특히 낙동강 하류에서 많이 난다. 맹물에 담가서 어둡고 시원한 곳에 하룻밤 정도 두면 모래를 모두 토해낸다.
현각(蜆殼) / 재첩 껍데기
| 라틴명 |
Corbiculae Concha |
| 약재의 효능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거습(祛濕)
(약재를 이용하여 습사(濕邪)를 없애는 것임)
|
|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
|
염한(斂汗)
(표(表)가 허(虛)해서 저절로 땀이 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을 약으로 수렴(收斂)시키는 방법임.)
|
| 성미 |
온(溫)
, 함(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