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Massa Medicata Fermentata | 
| 약재의 효능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 난위(暖胃)
 (온위산한(溫胃散寒)이라고도 부르며 성질이 따뜻하거나 더운 약으로 위한증(胃寒證)을 치료하는 치법임.) |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 도체(導滯)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 회유(回乳)
 (젖이 다시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 하태(下胎)
 (출산을 돕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 성미 | 감(甘)
, 신(辛)
, 온(溫) |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비음허위화성자(脾陰虛胃火盛者)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임산부는 조금만 먹어야 함. | 
| 약재사용처방 |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 
|  |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식상(食傷)
, 숙식(宿食) | 
|  |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
, 식적(食積) |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매핵기(梅核氣)
, 기담(氣痰) |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 
|  |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 
|  | 가미월국환(加味越麴丸) / 
울증(鬱證) | 
|  |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 
|  |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 
식상(食傷) | 
|  |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 
|  |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 
|  |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 
|  |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 
|  |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복통(腹痛) | 
|  | 건비환(健脾丸) / 
식상(食傷) | 
|  |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 
|  | 계비원(啓脾元) / 
비위불화(脾胃不和)
, 불능식(不能食) | 
|  |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 
|  | 과루환(瓜蔞丸) / 
식적수(食積嗽) | 
|  |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 
비위허약(脾胃虛弱)
, 구토(嘔吐) | 
|  | 관음산(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 
|  |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  |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 
|  |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복창(腹脹)
, 중만(中滿)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 국궁환(麴芎丸) / 
습설(濕泄) | 
|  | 국얼기출환(麴蘖枳朮丸) / 
식상(食傷) | 
|  | 국얼원(麴蘖元) / 
주벽(酒癖) | 
|  | 국출원(麴朮元) / 
서설(暑泄) | 
|  | 국출환(麴朮丸) / 
유음(留飮)
, 탄산(呑酸)
, 숙식(宿食) | 
|  | 궁귀환(芎歸丸)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 귤감산(橘甘散) / 
담수(痰嗽) | 
|  | 기실도체환(枳實導滯丸) / 
상식(傷食) | 
|  |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
, 인사불성(人事不省) | 
|  |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 
|  | 녹반환(綠礬丸) / 
황달(黃疸) | 
|  | 대금음자(對金飮子) / 
주상(酒傷)
, 식상(食傷) | 
|  | 대산우원(大山芋元) / 
노손(勞損)
, 비위허약(脾胃虛弱) | 
|  | 대안환(大安丸) / 
식적(食積) | 
|  |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 
|  |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 
|  | 맥천탕(麥天湯) / 
식비(食痺)
, 오심(惡心)
, 구토(嘔吐) | 
|  |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 | 
|  |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
, 적취(積聚) | 
|  |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 / 
상식(傷食) | 
|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 
|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 
|  | 백출복령탕(白朮茯苓湯) / 
식비(食痺) | 
|  | 별갑환(鱉甲丸) / 
학모(瘧母)
, 해학(痎瘧) | 
|  | 보비탕(補脾湯)[2] / 
만경풍(慢驚風) | 
|  | 보화환(保和丸)[1] / 
적취(積聚)
, 비괴(痞塊) | 
|  | 보화환(保和丸)[2] / 
식적(食積)
, 주적(酒積) | 
|  | 보화환(保和丸)[3] / 
식적(食積)
, 주적(酒積) | 
|  |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3] / 
식비(食痺) | 
|  | 봉강환(蜂薑丸) / 
주수(酒嗽) | 
|  | 비아환(肥兒丸) / 
감질(疳疾) | 
|  | 비화음(比和飮) / 
구토(嘔吐) | 
|  | 산사국출환(山査麴朮丸) / 
비설(脾泄) | 
|  | 삼두해정탕(三豆解컲湯) / 
주상(酒傷) | 
|  |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 
|  |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 
식적(食積) | 
|  |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 
|  |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방광병(膀胱病)
, 한산(寒疝) | 
|  |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 
|  | 삼출탕(蔘朮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 식후혼곤(食後昏困) | 
|  | 삼황기출환(三黃枳朮丸) / 
상식(傷食) | 
|  |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 
|  |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 
|  |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 
|  | 소식환(消食丸) / 
숙식(宿食)
, 식적(食積)
, 유적(乳積) | 
|  | 소온중환(小溫中丸) / 
곡달(穀疸) | 
|  |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 
|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담음(痰飮)
, 기혈응체(氣血凝滯)
, 식적(食積) |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 
반위(反胃)
, 조잡(嘈雜)
, 구토(嘔吐) |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 
전광(癲狂)
, 노기상간(怒氣傷肝) |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2] / 
노권(勞倦)
, 내상(內傷)
, 중기부족(中氣不足) |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 신국(神麴)[2] / 
설리(泄痢) | 
|  | 신국(神麴)[3] / 
숙식(宿食) | 
|  | 신국(神麴)[4] / 
사태불하(死胎不下) | 
|  | 신국주(神麴酒) / 
좌섬요통(挫閃腰痛) | 
|  |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 
|  | 신법반하탕(新法半夏湯) / 
한담(寒痰) |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 
|  | 아위환(阿魏丸)[1] / 
육적(肉積)
, 식적(食積) | 
|  |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 
|  |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 
|  |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 
|  |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 연라환(連蘿丸) / 
비괴(痞塊)
, 현훈(眩暈)
, 조잡(嘈雜) | 
|  |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 
|  |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 
|  | 월국환(越麴丸) / 
울증(鬱證) | 
|  |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 
담적(痰積) | 
|  | 육신환(六神丸) / 
이질(痢疾) | 
|  |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 
|  | 음학환(陰瘧丸) / 
해학(痎瘧)
, 야발음학(夜發陰瘧) | 
|  | 이국원(二麴元) / 
불사식(不思食)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 
|  |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 
|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1] / 
붕루(崩漏) | 
|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2] / 
내상(內傷) | 
|  |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3] / 
옹저번갈(癰疽煩渴) | 
|  |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 
|  | 저백환(樗柏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 
|  |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 
|  |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 
|  |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 
|  |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 / 
황반(黃胖)
, 황달(黃疸) | 
|  |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 / 
비설(脾泄) | 
|  |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 
|  |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
, 현벽(痃癖) | 
|  | 창련탕(蒼連湯) / 
탄산(呑酸) | 
|  |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 
|  |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담음(痰飮) | 
|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중갈(中暍) | 
|  | 청울산(淸鬱散) / 
위심통(胃心痛) | 
|  | 청조탕(淸燥湯) / 
탄탄(癱瘓)
, 양각위연(兩脚痿軟) |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 
|  |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 
|  |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 
|  | 퇴금환(褪金丸) / 
황종(黃腫) | 
|  |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 
|  |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 
|  |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 
비위허한(脾胃虛寒)
, 복창(腹脹) |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 
|  | 포황고(蒲黃膏) / 
졸이롱(卒耳聾) | 
|  |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 
|  |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 
|  | 해조산견환(海藻散堅丸) / 
기영(氣癭)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 해청환(海靑丸)[1] / 
담설(痰泄) | 
|  |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 
|  |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 
|  | 향릉환(香稜丸) / 
오적(五積)
, 육취(六聚) |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 
|  |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 
|  | 황과루환(黃瓜蔞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 
|  | 황기인삼탕(黃芪人蔘湯) / 
중갈(中暍) | 
|  | 황련소비환(黃連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 
|  | 후박전(厚朴煎) / 
하혈(下血)
, 변혈(便血) | 
|  |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