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Aurantii Fructus Immaturus |  
| 약재의 효능 |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제비(除痺})
 (비(痞)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축수(逐水)
 (몸속의 수기를 빼내는 효능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건비기(健脾氣)
 |  
 | 
이오장(利五臟)
 (오장(五臟)의 기능을 윤활하게 하는 효능임)
 |  
 | 
이격관흉(利膈寬胸)
 |  
 | 
안위기(安胃氣)
 |  
 | 
파기행담(破氣行痰)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 성미 | 
고신산(苦辛酸)
, 온(溫)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 주의사항 | 
미숙과를 둘로 쪼개 말림. 오래될수록 좋음. 비허자(脾虛者),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숙식(宿食)
, 식상(食傷)
 | 
 |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
, 위심통(胃心痛)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기담(氣痰)
, 매핵기(梅核氣)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 
 |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 
 |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1] / 
경계(驚悸)
 | 
 |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2] / 
허번불수(虛煩不睡)
, 심허담겁(心虛膽怯)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담궐(痰厥)
 | 
 | 
갈출탕(葛朮湯) / 
주달(酒疸)
 | 
 |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 
각기(脚氣)
 | 
 |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 
열학(熱瘧)
, 한학(寒瘧)
, 장학(瘴瘧)
 | 
 |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 
담음(痰飮)
, 기체(氣滯)
 | 
 |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 
 |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 
 |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 
 | 
견음기실환(蠲飮枳實丸) / 
담음(痰飮)
 | 
 | 
고침무우산(高枕無憂散) / 
허번불수(虛煩不睡)
 | 
 |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1] / 
울담(鬱痰)
 | 
 |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2] / 
담화치(痰火痓)
 | 
 |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 
교태환(交泰丸) / 
조잡(嘈雜)
 | 
 | 
국얼기출환(麴蘖枳朮丸) / 
식상(食傷)
 | 
 | 
궤견탕(潰堅湯) / 
비괴(痞塊)
, 육취(六聚)
, 오적(五積)
 | 
 | 
궤견환(潰堅丸) / 
오적(五積)
, 비괴(痞塊)
, 육취(六聚)
 | 
 | 
규자탕(葵子湯) / 
방광실열(膀胱實熱)
, 소변불통(小便不通)
 | 
 | 
귤련기출환(橘連枳朮丸) / 
식상(食傷)
, 심하비(心下痞)
 | 
 | 
귤반기출환(橘半枳朮丸) / 
식상(食傷)
 | 
 | 
귤피기출환(橘皮枳朮丸) / 
심하비만(心下痞滿)
, 수곡불화(水穀不化)
 | 
 | 
귤핵환(橘核丸) / 
퇴산(㿉疝)
, 난종(卵腫)
 | 
 | 
기궁산(枳芎散) / 
좌협통(左脇痛)
 | 
 | 
기귤울법(枳橘蔚法) / 
부인음종(婦人陰腫)
 | 
 | 
기실(枳實)[1] / 
담벽(痰癖)
 | 
 | 
기실(枳實)[2] / 
심하비(心下痞)
 | 
 | 
기실(枳實)[3] / 
풍한협통(風寒脇痛)
 | 
 | 
기실(枳實)[4] / 
부인음종(婦人陰腫)
 | 
 |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1] / 
각기(脚氣)
 | 
 |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2] / 
식상(食傷)
 | 
 | 
기실도체환(枳實導滯丸) / 
상식(傷食)
 | 
 | 
기실산(枳實散) / 
간허협통(肝虛脇痛)
 | 
 |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 
 | 
기실이중원(枳實理中元) / 
흉비(胸痺)
 | 
 | 
기실주(枳實酒)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백진(白疹)
 | 
 |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 
 | 
기출탕(枳朮湯) / 
수결흉(水結胸)
 | 
 | 
기출환(枳朮丸) / 
식상(食傷)
 | 
 | 
길경탕(桔梗湯)[4] / 
담연옹성(痰涎壅盛)
, 해수(咳嗽)
 | 
 |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 
 |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附骨疽)
 | 
 | 
누로음자(漏蘆飮子) / 
부골저(附骨疽)
, 악창(惡瘡)
 | 
 |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酒疸)
 |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2] / 
변혈(便血)
 | 
 |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 
 |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항문양통(肛門痒痛)
, 치루(痔瘻)
 | 
 | 
대승기탕(大承氣湯) / 
흉복창만(胸腹脹滿)
, 상한이증(傷寒裏證)
 | 
 | 
대시호탕(大柴胡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 
 | 
도씨도담탕(陶氏導痰湯) / 
담미심규(痰迷心竅)
 | 
 |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황달(黃疸)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 
 | 
도씨황룡탕(陶氏黃龍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 심하비경(心下痞硬)
 | 
 | 
마린화환(馬藺花丸) / 
음란편추(陰卵偏墜)
, 퇴산(㿉疝)
 | 
 |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
, 적취(積聚)
 | 
 | 
목향기출환(木香枳朮丸) / 
숙식(宿食)
 | 
 |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 / 
상식(傷食)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기체복통(氣滯腹痛)
, 식적복통(食積腹痛)
 | 
 |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상식(傷食)
, 심하비만(心下痞滿)
 | 
 | 
반하기출환(半夏枳朮丸) / 
식상(食傷)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백출화위환(白朮和胃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보화환(保和丸)[1] / 
적취(積聚)
, 비괴(痞塊)
 | 
 |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 
 | 
부화탕(敷和湯) / 
도현(掉眩)
, 이명(耳鳴)
, 온려(瘟癘)
, 황달(黃疸)
 | 
 | 
분소탕(分消湯) / 
중만(中滿)
, 창만(脹滿)
 | 
 | 
비약환(脾約丸) / 
비약증(脾約證)
 | 
 | 
사간탕(射干湯)[1] / 
후아실성(喉{아}失聲)
, 풍한졸아(風寒卒牙)
 | 
 | 
사역산(四逆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반위(反胃)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사화청폐탕(瀉火淸肺湯) / 
화천(火喘)
 | 
 |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 
 |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1]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2]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3] / 
열격(噎膈)
, 대변비결(大便秘結)
, 반위(反胃)
, 구토(嘔吐)
 | 
 |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 
 | 
삼화탕(三化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삼황기출환(三黃枳朮丸) / 
상식(傷食)
 | 
 |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 
소아열격(小兒熱膈)
 | 
 |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
, 탄산(呑酸)
, 허비(虛痞)
 | 
 | 
소승기탕(小承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 
담천(痰喘)
 |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담음(痰飮)
, 기혈응체(氣血凝滯)
, 식적(食積)
 | 
 |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
, 후류(喉瘤)
 | 
 | 
소화환(消化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 
 |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수풍환(搜風丸)[1] / 
각기(脚氣)
 | 
 |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 
담음(痰飮)
 | 
 | 
순기산(順氣散) / 
중소(中消)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 
구토(嘔吐)
, 반위(反胃)
, 조잡(嘈雜)
 | 
 |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 
 | 
시향산(柴香散) / 
징가(癥瘕)
, 비괴(痞塊)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 
 |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예막(翳膜)
 | 
 |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 
 | 
양영탕(養榮湯) / 
불어(不語)
, 풍중혈맥(風中血脈)
, 수족불인(手足不仁)
 | 
 |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 
 | 
오음탕(五飮湯) / 
벽음(癖飮)
, 일음(溢飮)
, 유음(留飮)
 | 
 | 
온담탕(溫膽湯) / 
허번불수(虛煩不睡)
 | 
 |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 
 |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 
 |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 
 |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 
 | 
이황환(二黃丸) / 
상식(傷食)
 | 
 |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 
 |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 
 | 
인진산(茵蔯散) / 
황달(黃疸)
 | 
 | 
인진치자탕(茵蔯梔子湯) / 
곡달(穀疸)
 | 
 |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 
유정(遺精)
 | 
 | 
주적환(酒積丸) / 
주적(酒積)
 | 
 | 
죽력기출환(竹瀝枳朮丸) / 
담음(痰飮)
 | 
 |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열창(熱脹)
, 중만(中滿)
 | 
 |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 
 | 
지부자탕(地膚子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진교당귀탕(秦艽當歸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진교백출환(秦艽白朮丸)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
, 현벽(痃癖)
 | 
 | 
척담탕(滌痰湯) / 
중풍(中風)
, 담미심규(痰迷心竅)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
, 반위(反胃)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청몽석환(靑礞石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 
 |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중풍(中風)
, 어삽(語澁)
 | 
 |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 
 |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1] / 
열담(熱痰)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 
담훈(痰暈)
 | 
 |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추기환(推氣丸)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치시기실탕(梔豉枳實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 
주달(酒疸)
 | 
 |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 / 
상한번조(傷寒煩躁)
 | 
 |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열창(熱脹)
 | 
 |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 
 |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 
 |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 
 |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탄산(呑酸)
, 조잡(嘈雜)
 | 
 | 
평보기출환(平補枳朮丸) / 
흉비(胸痞)
 | 
 |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 
 |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
, 오적(五積)
 | 
 |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 
 |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상초열(上焦熱)
, 구토(嘔吐)
 | 
 |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 
 | 
황련소비환(黃連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 
 | 
후박기실탕(厚朴枳實湯) / 
구설(久泄)
 | 
 | 
후박탕(厚朴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 
 |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