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Rehmanniae Radix | 
| 약재의 효능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 생혈(生血)
 (혈(血)이 생기는 효능임) |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 양혈(凉血)
 (한랭(寒冷)한 약물을 사용하여 혈분(血分)에 열(熱)이 성(盛)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 소어(消瘀)
 (어혈(瘀血)을 삭여 없애는 방법을 말하는 것임) |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심(心) | 
| 성미 | 감고(甘苦)
, 한(寒) |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 약재사용처방 | 가감감로음(加減甘露飮) / 
아선(牙宣)
, 구취(口臭)
, 구창(口瘡) | 
|  |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건망(健忘) |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 
장풍(腸風)
, 변혈(便血) |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 
음허노손(陰虛勞損) | 
|  |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1] / 
혈허현훈(血虛眩暈) |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2] / 
혈허(血虛)
, 도한(盜汗)
, 담수(痰嗽)
, 조열(潮熱) | 
|  |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
, 온역(瘟疫) | 
|  | 감리고(坎離膏)[1] / 
토혈(吐血)
, 수혈(嗽血) | 
|  | 감리고(坎離膏)[2]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노손(勞損)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 강활충화탕(羌活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 
|  |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 
|  | 거삼시충원(去三尸蟲元) / 
삼시충(三尸蟲) | 
|  | 건갈탕(乾葛湯) / 
주치(酒痔) | 
|  | 경옥고(瓊玉膏)[2] / 
노채(勞瘵) | 
|  | 경지고(瓊脂膏) / 
조증(燥證) | 
|  | 계소산(鷄蘇散) / 
육혈(衄血) | 
|  | 괴화산(槐花散)[2] / 
장독(臟毒) | 
|  | 괴황탕(槐黃湯)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 교가산(交加散)[2] / 
산후풍치(産後風痓) | 
|  |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  |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 
축혈(畜血)
, 태양병(太陽病) | 
|  | 귀규탕(歸葵湯) / 
유루(流淚) | 
|  | 금보고(金寶膏)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  | 금주녹운유(金珠綠雲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4] / 
조잡(嘈雜)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 당귀산(當歸散)[1] / 
부인요혈(婦人尿血) | 
|  |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아주공(牙蛀孔) | 
|  |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 
치통(齒痛) | 
|  |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 
음허화왕(陰虛火旺)
, 도한(盜汗) | 
|  | 당귀윤조탕(當歸潤燥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당귀음자(當歸飮子) / 
개선(疥癬)
, 악창(惡瘡) | 
|  |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1] / 
붕루(崩漏) | 
|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1] / 
기혈양허(氣血兩虛)
, 도한(盜汗) | 
|  | 당귀탕(當歸湯) / 
내장(內障) | 
|  |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 
|  | 대조중탕(大調中湯) / 
열담(熱痰) | 
|  | 대진교탕(大秦芄湯) / 
중풍(中風)
, 설강(舌强)
, 탄탄(癱瘓) | 
|  | 대황음자(大黃飮子)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도씨보중익기탕(陶氏補中益氣湯) / 
상한(傷寒) | 
|  |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육혈(衄血) | 
|  | 도씨시호백합탕(陶氏柴胡百合湯) / 
상한백합병(傷寒百合病) | 
|  | 도씨충화탕(陶氏冲和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 
|  | 도인탕(桃仁湯) / 
산후요통(産後腰痛) | 
|  | 도적산(導赤散)[1] / 
경계(驚悸)
, 심열(心熱)
, 번갈(煩渴) | 
|  | 도적산(導赤散)[2] / 
소변불리(小便不利)
, 소장열(小腸熱) | 
|  | 도적탕(導赤湯) / 
소변백탁(小便白濁) | 
|  | 독활산(獨活散) / 
치근동요(齒根動搖)
, 아선(牙宣) | 
|  | 만병환(萬病丸)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 만응고(萬應膏)[1] / 
옹저(癰疽)
, 열독종(熱毒腫) |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명(耳鳴)
, 이롱(耳聾) | 
|  |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 
격소(膈消) | 
|  | 맥전산(麥煎散) / 
골증(骨蒸) | 
|  |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도첩권모(倒睫拳毛)
, 안릉긴급(眼楞緊急) | 
|  |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예막차정(藝膜遮睛) | 
|  | 반하탕(半夏湯) / 
담열(膽熱) | 
|  |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1] / 
파상풍(破傷風) | 
|  | 방풍충화탕(防風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 
|  | 백출제습탕(白朮除濕湯) / 
중초열(中焦熱) | 
|  | 백합지황탕(百合地黃湯) / 
상한백합병(傷寒百合病) | 
|  | 백화사환(白花蛇丸) / 
백라창(白癩瘡) | 
|  | 별갑산(鱉甲散) / 
상한괴증(傷寒壞症) | 
|  |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 
|  |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 
육혈(衄血)
, 변혈(便血)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  |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 
신소(腎消) | 
|  |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 
|  | 보영탕(補榮湯) / 
실혈(失血) | 
|  |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담수(痰嗽)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보음산(補陰散)[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보음산(補陰散)[2]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보정탕(保精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몽설(夢泄) | 
|  | 보중승독병(補中勝毒餠)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2] / 
심한(心汗) | 
|  | 복령탕(茯苓湯)[2]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 
|  |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 
|  | 사백탕(瀉白湯) / 
대장실열(大腸實熱)
, 제복통(臍腹痛) | 
|  | 사신탕(瀉腎湯) / 
임(淋) | 
|  |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 
|  | 사혈탕(瀉血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 
|  |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타혈(唾血)
, 담수(痰嗽) | 
|  | 삼기탕(蔘芪湯)[4]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  | 삼비탕(三痺湯) / 
기혈응체(氣血凝滯)
, 풍비(風痺) | 
|  | 삼호작약탕(蔘胡芍藥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 
|  |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1] / 
토혈(吐血) | 
|  |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 
소아제창(小兒諸瘡) | 
|  | 생지금련탕(生地芩連湯) / 
실혈현훈(失血眩暈) | 
|  | 생지황(生地黃)[1] / 
변혈(便血)
, 육혈(衄血)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  | 생지황(生地黃)[2] / 
심열(心熱) | 
|  | 생지황(生地黃)[3] / 
충심통(蟲心痛) | 
|  | 생지황(生地黃)[4] / 
이명(耳鳴)
, 이롱(耳聾) | 
|  | 생지황(生地黃)[5] / 
심통(心痛) | 
|  | 생지황(生地黃)[6] / 
골증(骨蒸) | 
|  | 생지황(生地黃)[7] / 
옹종(癰腫) | 
|  | 생지황(生地黃)[8] / 
골절(骨折) | 
|  | 생지황(生地黃)[9] / 
태루(胎漏) | 
|  | 생지황고(生地黃膏) / 
소갈(消渴) | 
|  | 생지황죽(生地黃粥) / 
태루(胎漏) | 
|  | 생지황탕(生地黃湯)[1] / 
축혈(畜血) | 
|  | 생지황탕(生地黃湯)[2] / 
태열(胎熱) | 
|  |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 
|  |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 
소아열격(小兒熱膈) | 
|  | 생진양혈탕(生津養血湯) / 
상소(上消) | 
|  |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 
|  |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 
무사(無嗣) | 
|  | 성심산(醒心散) / 
심허열(心虛熱) | 
|  | 성유탕(聖愈湯) / 
옹저(癰疽) |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풍열(風熱) | 
|  | 소계음자(小薊飮子)[1] / 
요혈(尿血) | 
|  | 소계음자(小薊飮子)[2] / 
혈림(血淋) | 
|  | 소마인환(小麻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 
양독발반(陽毒發斑)
, 반진(斑疹) | 
|  | 소자전(蘇子煎) / 
기수(氣嗽) | 
|  |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 승마산(升麻散) / 
구미(口糜) | 
|  |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 
|  |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내저(內疽)
, 배옹(背癰)
, 오발옹저(五發癰疽) | 
|  |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 
|  |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 
|  | 시호기각탕(柴胡枳殼湯) / 
임신상한(妊娠傷寒) | 
|  |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2] / 
산후발열(産後發熱) |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 시호지황탕(柴胡地黃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1] / 
축혈(畜血)
, 열입혈실(熱入血室) | 
|  |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2] / 
산후오로불하(産後惡露不下)
, 산후발열(産後發熱) | 
|  | 신공환(神功丸) / 
치아감식(齒牙疳蝕) | 
|  |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 
동창(凍瘡) |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 신허위열아동방(腎虛胃熱牙疼方) / 
치통(齒痛) | 
|  |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 
심열(心熱)
, 구설생창(口舌生瘡) | 
|  | 안신보심탕(安神補心湯)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 안신탕(安神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안신환(安神丸) / 
경광(驚狂)
, 전간(癲癎) | 
|  | 양심탕(養心湯) / 
소수(少睡)
, 경계(驚悸) | 
|  | 양영탕(養榮湯) / 
불어(不語)
, 풍중혈맥(風中血脈)
, 수족불인(手足不仁) | 
|  | 양유방(釀乳方)[2] / 
태열(胎熱) | 
|  | 양혈안신탕(養血安神湯) / 
경계(驚悸) | 
|  | 양혈음(凉血飮)[1] / 
치루(痔瘻) |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3] / 
산후발열(産後發熱) | 
|  |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 
전광(癲狂) | 
|  |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 
목설(木舌)
, 중설(重舌)
, 단유아(單乳蛾)
, 쌍유아(雙乳蛾) |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수발조백(鬚髮早白) | 
|  | 오신탕(五神湯) / 
부인토혈(婦人吐血) | 
|  | 오즙옥천환(五汁玉泉丸) / 
소갈(消渴) | 
|  | 오증탕(五蒸湯) / 
골증(骨蒸) | 
|  | 오증환(五蒸丸) / 
골증(骨蒸) | 
|  | 오통고(五通膏) / 
촬구(撮口)
, 제풍(臍風) | 
|  | 옥천산(玉泉散) / 
소갈(消渴) | 
|  | 옥촉산(玉燭散)[2] / 
변옹(便癰) | 
|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2] / 
부인음정(婦人陰挺)
, 근산(筋疝)
, 음균(陰菌) | 
|  | 우즙고(藕汁膏) / 
중소(中消)
, 위열(胃熱) | 
|  | 우즙산(藕汁散)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 윤마환(潤麻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윤장환(潤腸丸)[2]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  | 응신산(凝神散) / 
열중(熱中) | 
|  | 이생고(二生膏)[1] / 
근단(筋斷)
, 골절(骨折) | 
|  | 이생고(二生膏)[2] / 
상손탈구(傷損脫臼) | 
|  | 이열탕(移熱湯) / 
구미(口糜)
, 구창(口瘡) | 
|  | 이장음(梨漿飮) / 
조열(潮熱) | 
|  |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 익기안신탕(益氣安神湯) / 
다몽(多夢)
, 경계(驚悸) | 
|  |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 
|  | 인삼죽력음(人蔘竹瀝飮) / 
허학(虛瘧) | 
|  | 인삼지골피산(人蔘地骨皮散) / 
폐열(肺熱) | 
|  | 입문대조환(入門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 
|  | 입효산(立效散)[1] / 
소아요혈(小兒尿血) | 
|  | 자금산(子芩散) / 
상초열(上焦熱) | 
|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신허내장(腎虛內障)
, 혈소신로(血少神勞) | 
|  |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
, 자전풍(紫癜風) | 
|  | 자윤탕(滋潤湯) / 
이변폐삽(二便閉澁)
, 풍중장(風中臟) | 
|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1] / 
신허(腎虛)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2]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자음양영탕(滋陰養榮湯) / 
소갈(消渴) | 
|  |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 
|  |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 
|  |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 적복령탕(赤茯苓湯) / 
소장열(小腸熱) | 
|  |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 
|  | 정통산(定痛散)[1] / 
아주공(牙蛀孔) | 
|  |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 / 
자학(子瘧) | 
|  | 조경탕(調經湯) / 
축혈(畜血) | 
|  | 조위탕(調衛湯) / 
자한(自汗) | 
|  | 죽엽황기탕(竹葉黃芪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 죽피소요산(竹皮逍遙散)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음양역(陰陽易) | 
|  | 지골피산(地骨皮散)[1] / 
혈열(血熱) | 
|  | 지통당귀탕(止痛當歸湯) / 
옹저(癰疽) | 
|  | 지황고(地黃膏)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 
|  | 지황산(地黃散)[1] / 
혼정장(混睛障) | 
|  |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 
|  | 지황죽(地黃粥) / 
목적종통(目赤腫痛) | 
|  | 천문동탕(天門冬湯)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 
|  | 청골산(淸骨散) / 
골증(骨蒸)
, 오심번열(五心煩熱)
, 노채(勞瘵) | 
|  |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 
|  | 청단죽엽탕(淸膻竹葉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 청량산(淸凉散)[2] / 
실화(實火)
, 인후종통(咽喉腫痛) | 
|  | 청백산(淸白散) / 
백대(白帶) |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 청신감로환(淸神甘露丸) / 
허로이수(虛勞羸瘦) | 
|  |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 
|  |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어삽(語澁)
, 중풍(中風) | 
|  |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 
경계(驚悸) | 
|  |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 / 
창양양증(瘡瘍陽證) | 
|  |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변혈(便血)
, 요혈(尿血) | 
|  | 청열해독산(淸熱解毒散) / 
천행온역(天行瘟疫) | 
|  |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 청위산(淸胃散) / 
위열치통(胃熱齒痛) | 
|  | 청위탕(淸胃湯) / 
아상종통(牙床腫痛)
, 치근동요(齒根動搖) | 
|  | 청장탕(淸腸湯) / 
요혈(尿血) | 
|  | 청장탕(淸臟湯) / 
변혈(便血) | 
|  | 청조탕(淸燥湯) / 
양각위연(兩脚痿軟)
, 탄탄(癱瘓) | 
|  | 청총화담환(淸聰化痰丸) / 
간화이롱(肝火耳聾) | 
|  | 청폐생맥음(淸肺生脈飮) / 
서열번갈(暑熱煩渴) | 
|  |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음허화동(陰虛火動)
, 후옹(喉癰) | 
|  |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 
|  |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 
주사비(酒齄鼻)
, 비사(鼻齄) | 
|  |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 
타혈(唾血)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 
|  | 치산후발열일방(治産後發熱一方)[1] / 
산후발열(産後發熱) | 
|  | 칠생탕(七生湯)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 칠진산(七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 태을고(太乙膏) / 
탕화상(燙火傷)
, 오발옹저(五發癰疽) | 
|  | 통명산(通明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 통유탕(通幽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통현이팔단(通玄二八丹) / 
적취(積聚) | 
|  |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 
|  | 팔진산(八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 
|  | 필효산(必效散)[1] / 
임(淋) | 
|  |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객혈(喀血)
, 타혈(唾血)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 합개환(蛤蚧丸) / 
구수실음(久嗽失音) | 
|  | 해울탕(解鬱湯) / 
육혈(衄血) | 
|  |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1]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타혈(唾血)
, 해혈(咳血) | 
|  |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2] / 
노수(勞嗽)
, 타혈(唾血)
, 객혈(喀血) |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 
|  | 화혈윤장탕(和血潤腸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화혈익기탕(和血益氣湯) / 
소갈(消渴) | 
|  | 환원추석환(還元秋石丸) / 
수발조백(鬚髮早白) | 
|  |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소갈(消渴) | 
|  | 황금탕(黃芩湯)[3] / 
상초열(上焦熱) | 
|  | 황금탕(黃芩湯)[4] / 
상소(上消) |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
, 노손(勞損) | 
|  |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 / 
전광(癲狂) | 
|  |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배(發背)
, 발뇌(發腦)
, 마목(麻木) | 
|  | 황련지황탕(黃連地黃湯) / 
삼소(三消) | 
|  |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 
유정(遺精)
, 설정(泄精) | 
|  | 황련탕(黃連湯)[1] / 
설종(舌腫) | 
|  | 황룡탕(黃龍湯)[1] / 
임신상한(妊娠傷寒) | 
|  |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 
|  | 흑고(黑膏) / 
온독발반(溫毒發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