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곡대(鷄穀袋) / 계내금
    
 

 익생양술에서 
"계내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계곡대(鷄穀袋) / 계내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Galli stomachichum corium
 
	
 
 
  
     
    
 
    
| 분포 | 전국 | 채취기간 | 수시 | 
| 키 | 5~7cm | 취급요령 | 말려서 갈아 쓴다. | 
| 생지 | 닭의 생산지 | 성미 | 차며, 약간 달다. | 
| 분류 | 닭의 멀떠구니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닭참조 | 1회사용량 | 2g | 
| 약효 | 멀떠구니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닭이 뭐든지 잘 먹는 것은 위가 매우 발달된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가 없어서 먹이를 씹을 수 없는 닭은 사금파리나 모래 따위를 삼켜서 먹이를 잘게 부수는 데 사용한다. 뼈같이 단단한 먹이는 모래주머니에서 부순다. 약으로 사용할 때는 1회 2g씩 1일 3회 식사전에 복용한다.
 
 
 
     
 
 
 
 
 
 
 
 
 
 
 
 
 
 
 계곡대(鷄穀袋) / 계내금
계곡대(鷄穀袋) / 계내금
 
| 라틴명 | Galli Stomachicum Corium | 
| 약재의 효능 | 건위소식(健胃消食)
 (위(胃)를 튼튼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 삽정지유(澁精止遺)
 (정(精)을 저장하고 유정(遺精) 멈추게 하는 효능임) | 
|  | 거예명목(去翳明目) | 
|  | 제열지번(除熱止煩)
 (열(熱)을 제거하고 번조(煩躁)한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방광(膀胱)
, 비(脾)
, 소장(小腸)
, 위(胃) | 
| 성미 | 감(甘)
, 평(平) | 
| 약재사용처방 | 계곡대(鷄穀袋) / 
열격(噎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