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Tribuli Fructus | 
| 약재의 효능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 소풍(疎風)
 (풍사(風邪)가 인체에 침입한 것을 거풍해표약(祛風解表藥)을 사용하여 소산(疎散)시키는 방법임) |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 지양(止痒)
 (양증(痒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 사폐(瀉肺)
 (폐내(肺內)에 쌓인 열을 청사(淸瀉)하는 방법임.) | 
|  | 지번(止煩)
 (번조(煩躁)를 그치게 효능임) | 
|  | 승습(勝濕)
 (습사(濕邪)를 물리치는 효능임) | 
|  |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 산풍(散風)
 (풍사(風邪)를 흩뜨리는 효능임) | 
|  | 소간기(疏肝氣) | 
|  |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 성미 | 고신(苦辛)
, 온(溫) | 
| 주의사항 | 자질려(刺蒺藜)의 가시를 없앤 것. | 
| 약재사용처방 |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 
|  | 강국산(羌菊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수명(羞明) | 
|  | 검실환(芡實丸) / 
몽설(夢泄) | 
|  | 계향산(桂香散)[1] / 
이롱(耳聾) |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
, 예막차정(藝膜遮睛) | 
|  | 고치산(固齒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 
|  |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 
|  |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안목혼암(眼目昏暗)
, 영풍유루(迎風流淚) | 
|  | 국방안신원(局方安腎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 국화산(菊花散)[1] / 
예막(翳膜)
, 안목적종(眼目赤腫)
, 참통(磣痛) |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  | 당귀음자(當歸飮子) / 
개선(疥癬)
, 악창(惡瘡) | 
|  |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
, 면창(面瘡) | 
|  | 대마풍환(大麻風丸) / 
대마풍(大麻風) | 
|  |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 마광산(磨光散) / 
예장(翳障)
, 풍안(風眼) |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
, 유루(流淚) | 
|  |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예막차정(藝膜遮睛) |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예막(翳膜)
, 내장(內障) | 
|  | 백미원(白薇元) / 
누정(漏睛) | 
|  | 백질려(白蒺藜) / 
감식창(疳蝕瘡)
, 아치감닉창(牙齒疳䘌瘡) | 
|  |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 
|  | 봉와산(蜂窩散) / 
풍치(風齒)
, 아주공(牙蛀孔) | 
|  |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 
|  | 사생산(四生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음식창(陰蝕瘡) |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 
|  | 선화산(蟬花散)[1] / 
예막(翳膜)
, 안목적종(眼目赤腫)
, 유루(流淚) | 
|  |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풍열(風熱)
, 안목적종(眼目赤腫) |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예막(翳膜) | 
|  | 일립금단(一粒金丹)[2] / 
일체풍(一切風) | 
|  | 죽통흡독방(竹筒吸毒方) / 
정창(釘瘡)
, 악창(惡瘡) | 
|  | 지황산(地黃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적예(赤翳)
, 백막차정(白膜遮睛) | 
|  |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 
|  | 질려산(蒺藜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 차전산(車前散) / 
혈관동인(血灌瞳仁)
, 예장(翳障) | 
|  | 창출산(蒼朮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 
|  |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  | 취선산(醉仙散) / 
대풍창(大風瘡) | 
|  | 통간산(通肝散) / 
빙예(氷翳) |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 
내장(內障)
, 산예(散翳) | 
|  | 호마산(胡麻散) / 
은진(癮疹)
, 창개(瘡疥)
, 자백전풍(紫白癜風) |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 
|  | 황기환(黃芪丸) / 
이명(耳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