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Chrysanthemi Flos | 
| 약재의 효능 | 소풍(疎風)
 (풍사(風邪)가 인체에 침입한 것을 거풍해표약(祛風解表藥)을 사용하여 소산(疎散)시키는 방법임) |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폐(肺) | 
| 성미 | 감고(甘苦)
, 미한(微寒)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 약재사용처방 |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 
|  |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 
|  |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개선(疥癬)
, 자백전풍(紫白癜風)
, 역양풍(癧瘍風) | 
|  | 감국(甘菊)[1] / 
풍현(風眩) | 
|  | 감국(甘菊)[2] / 
내장(內障)
, 풍안유루(風眼流淚)
, 예막(翳膜) | 
|  | 감국(甘菊)[3] / 
중풍(中風)
, 풍현(風眩) | 
|  | 강국산(羌菊散) / 
수명(羞明)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 결명산(決明散) / 
안목적종(眼目赤腫)
, 예막(翳膜) |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
, 예막차정(藝膜遮睛) | 
|  |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안목혼암(眼目昏暗)
, 영풍유루(迎風流淚) | 
|  | 국정원(菊睛元) / 
안화(眼花)
, 예막(翳膜) | 
|  |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 
정두통(正頭痛)
, 비색(鼻塞)
, 편두통(偏頭痛)
, 두풍(頭風) | 
|  | 국화산(菊花散)[1] / 
안목적종(眼目赤腫)
, 참통(磣痛)
, 예막(翳膜) | 
|  | 국화산(菊花散)[2] / 
수발황락(鬚髮黃落) | 
|  |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 마광산(磨光散) / 
예장(翳障)
, 풍안(風眼) |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명(耳鳴)
, 이롱(耳聾) |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
, 유루(流淚) |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안화(眼花) | 
|  |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 
|  | 밀몽화산(密蒙花散)[1] / 
내장(內障) |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 방풍산(防風散)[1] / 
현훈(眩暈) | 
|  | 백부자환(白附子丸) / 
담훈(痰暈) | 
|  | 보간산(補肝散)[2] / 
원예(圓翳) | 
|  | 보간산(補肝散)[3] / 
음허생예(陰虛生翳) | 
|  |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 
신소(腎消) | 
|  | 사신산(四神散) / 
정두통(正頭痛)
, 부인혈풍(婦人血風) | 
|  |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 
목현(目眩)
, 담궐두통(痰厥頭痛) | 
|  | 서각음자(犀角飮子) / 
이롱(耳聾)
, 농이(膿耳) | 
|  |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난현풍(爛弦風)
, 도첩권모(倒睫拳毛) | 
|  | 선화산(蟬花散)[1] / 
예막(翳膜)
, 안목적종(眼目赤腫)
, 유루(流淚) | 
|  |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풍열(風熱)
, 안목적종(眼目赤腫) |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오로(五勞)
, 칠상(七傷) |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예막(翳膜) | 
|  |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 여선옹방(呂仙翁方) / 
내장(內障) | 
|  |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 
|  | 영양각환(羚羊角丸) / 
녹풍내장(綠風內障) | 
|  | 용담산(龍膽散)[2] / 
간열목통(肝熱目痛) | 
|  |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 
|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혈소신로(血少神勞)
, 신허내장(腎虛內障) | 
|  |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허로(虛勞) | 
|  | 정심원(定心元) / 
노육반정(努肉攀睛) | 
|  | 정전양간원(正傳羊肝元) / 
청맹(靑盲)
, 예막(翳膜) | 
|  | 지지환(地芝丸) / 
원시(遠視) | 
|  | 지황원(地黃元) / 
독서손목(讀書損目) | 
|  | 차전산(車前散) / 
혈관동인(血灌瞳仁)
, 예장(翳障) | 
|  | 천궁산(川芎散)[1] / 
풍훈(風暈) | 
|  | 천궁산(川芎散)[3] / 
편두통(偏頭痛) | 
|  |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 청신산(淸神散) / 
이중청(耳重聽) | 
|  |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 
두목불청(頭目不淸) | 
|  |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  | 통명산(通明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 호마산(胡麻散) / 
자백전풍(紫白癜風)
, 은진(癮疹)
, 창개(瘡疥) |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 환정환(還睛丸)[1] / 
고풍작목(高風雀目) | 
|  |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