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Polygalae Radix |  
| 약재의 효능 | 
익지(益智)
 (지혜를 더하는 효능임)
 |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산울(散鬱)
 (막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 
생정(生精)
 |  
 |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강지(强志)
 (지력(志力)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  
 | 
정심기(定心氣)
 |  
 | 
안혼백(安魂魄)
 (혼백(魂魄)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  
 | 
이구규(利九竅)
 (구규(九竅)가 막힌 것을 뚫는 효능임)
 |  
 |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  
 | 
조근골(助筋骨)
 (근육과 뼈를 도와서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  
 | 
장양도(壯陽道)
 (양도(陽道)를 튼튼히 하는 효능임)
 |  
 | 
교통심신(交通心神)
 |  
| 작용부위 | 
신(腎)
, 심(心)
, 폐(肺)
 | 
| 성미 | 
신고(辛苦)
, 온(溫)
 |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 약재사용처방 | 
가감고본환(加減固本丸) / 
노인혼모(老人昏冒)
 | 
 |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건망(健忘)
 | 
 |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탈영실정(脫營失精)
 | 
 |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간비노울(肝脾怒鬱)
, 월경불통(月經不通)
 | 
 |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2] / 
경계(驚悸)
 | 
 | 
가미소건중탕(加味小建中湯) / 
심위통(心胃痛)
 | 
 | 
가미영신환(加味寧神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황홀(恍惚)
, 경계(驚悸)
 | 
 |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2] / 
허번불수(虛煩不睡)
, 심허담겁(心虛膽怯)
 | 
 |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 
 | 
강심단(降心丹) / 
건망(健忘)
 | 
 | 
강심탕(降心湯) / 
격소(膈消)
 | 
 | 
개심산(開心散) / 
건망(健忘)
 | 
 | 
계두환(鷄頭丸) / 
어지(語遲)
 |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 
 | 
고정환(固精丸) / 
탈정(脫精)
, 정설(精泄)
, 신허(腎虛)
 | 
 |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 / 
건망(健忘)
 | 
 | 
구선영응산(九仙靈應散) / 
음위(陰痿)
 | 
 |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허로(虛勞)
, 적탁(赤濁)
, 유정(遺精)
, 정충(怔忡)
 | 
 | 
귀비탕(歸脾湯)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귀신단(歸神丹) / 
전간(癲癎)
, 경계(驚悸)
, 건망(健忘)
 | 
 | 
귀원산(歸元散)[1] / 
몽설(夢泄)
, 중기하함(中氣下陷)
 | 
 | 
금련환(金蓮丸) / 
소변적탁(小便赤濁)
 | 
 | 
내색산(內塞散) / 
감창(疳瘡)
, 누창(瘻瘡)
 | 
 | 
대아교원(大阿膠元) / 
노수(勞嗽)
, 토혈(吐血)
, 타혈(唾血)
 | 
 |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 
 | 
반하탕(半夏湯) / 
담열(膽熱)
 | 
 | 
백자인산(柏子仁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벽사단(辟邪丹)[2] / 
사수(邪祟)
 | 
 |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 
 | 
보허음(補虛飮) / 
기훈(氣暈)
, 담연옹성(痰涎壅盛)
 | 
 | 
복령산(茯苓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복신산(茯神散) / 
대경불어(大驚不語)
 | 
 | 
복신탕(茯神湯)[1] / 
육맥허약(六脈虛弱)
 | 
 | 
삼간단(三癎丹) / 
식간(食癎)
 | 
 |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 
 | 
삼령원(蔘苓元) / 
식역증(食㑊症)
 | 
 |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 
 | 
상단(上丹) / 
음위(陰痿)
 | 
 | 
상표소산(桑螵蛸散)[1]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성심산(醒心散) / 
심허열(心虛熱)
 | 
 | 
소식산(消蝕散) / 
옹저(癰疽)
 | 
 | 
속명자산(續命煮散)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 
심평탕(審平湯) / 
중열(中熱)
, 면목부종(面目浮腫)
, 복창(腹脹)
 | 
 |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 
 | 
안신보심탕(安神補心湯)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양심탕(養心湯) / 
소수(少睡)
, 경계(驚悸)
 | 
 | 
양영탕(養榮湯) / 
불어(不語)
, 풍중혈맥(風中血脈)
, 수족불인(手足不仁)
 | 
 |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 
전광(癲狂)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 
영신도담탕(寧神導痰湯) / 
중풍혼도(中風昏倒)
 | 
 |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 
 |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
, 음위(陰痿)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 
 | 
원지(遠志)[1] / 
건망(健忘)
 | 
 | 
원지주(遠志酒) / 
옹저(癰疽)
 | 
 | 
원지환(遠志丸) / 
대경불어(大驚不語)
 | 
 | 
육혼단(育魂丹) / 
정충(怔忡)
, 전간(癲癎)
 | 
 | 
이삼단(二蔘丹) / 
중풍(中風)
, 건망(健忘)
 | 
 | 
익기안신탕(益氣安神湯) / 
경계(驚悸)
, 다몽(多夢)
 | 
 | 
익담탕(益膽湯) / 
구고(口苦)
 | 
 |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 
혈허현훈(血虛眩暈)
, 조잡(嘈雜)
 | 
 |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 
 |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 
 |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전설고(轉舌膏)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 
 | 
정신단(靜神丹) / 
경계(驚悸)
 | 
 | 
정심원(定心元) / 
노육반정(努肉攀睛)
 | 
 |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 / 
심화몽설(心火夢泄)
 | 
 | 
정지환(定志丸) / 
건망(健忘)
, 심허(心虛)
 | 
 | 
주자독서환(朱子讀書丸) / 
건망(健忘)
 | 
 |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 
 |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 
 |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 
경계(驚悸)
, 전광(癲狂)
 | 
 | 
창포환(菖蒲丸) / 
어지(語遲)
 | 
 |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 
 | 
천문동탕(天門冬湯) / 
육혈(衄血)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어삽(語澁)
, 중풍(中風)
 | 
 | 
청심산(淸心散) / 
심옹(心癰)
 | 
 |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 
 |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 
 |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후옹(喉癰)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총명탕(聰明湯) / 
건망(健忘)
 | 
 |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1] / 
옹저(癰疽)
 | 
 |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 
 | 
팔물정지원(八物定志元) / 
경계(驚悸)
 | 
 |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경계(驚悸)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 
해어환(解語丸) / 
어삽(語澁)
, 중풍(中風)
 | 
 |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 
 | 
황기복신탕(黃芪茯神湯) / 
폭음(暴音)
, 심통(心痛)
, 울모(鬱冒)
 | 
 | 
황기산(黃芪散) / 
누정(漏睛)
 | 
 | 
황련복령탕(黃連茯苓湯) / 
음궐(陰厥)
, 번조(煩躁)
, 신열(身熱)
, 해역상기(咳逆上氣)
 | 
 |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 
유정(遺精)
, 설정(泄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