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Viticis Fructus | 
| 약재의 효능 | 소산풍열(疏散風熱)
 (풍열(風熱)의 독(毒)을 발산(發散)하여 해소하는 효능임) | 
|  | 청리두목(淸利頭目)
 (머리와 얼굴, 눈 등에 열이 치솟는 것을 차가운 성질의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 양혈(凉血)
 (한랭(寒冷)한 약물을 사용하여 혈분(血分)에 열(熱)이 성(盛)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 지두통(止頭痛)
 (두통(頭痛)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 견치(堅齒)
 (치아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 이구규(利九竅)
 (구규(九竅)가 막힌 것을 뚫는 효능임) | 
|  |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 
|  | 수간풍(搜肝風)
 (간풍(肝風)을 제거하는 효능임) | 
|  | 장수발(長鬚髮)
 (수염과 털을 기르는 효능임) | 
|  | 거백충(去白蟲)
 (모든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임) | 
|  | 수풍양혈(搜風凉血)
 (내풍(內風)을 제거하고, 양혈(養血)하는 효능임) |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 내로(耐老)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방광(膀胱)
, 위(胃) | 
| 성미 | 고신(苦辛)
, 미한(微寒) | 
| 약전기재 | 원색화한약도감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위허자(胃虛者)는 복용하지 말 것. | 
| 약재사용처방 |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 
|  |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개선(疥癬)
, 자백전풍(紫白癜風)
, 역양풍(癧瘍風) | 
|  | 가미고삼환(加味苦蔘丸) / 
대풍창(大風瘡) |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3] / 
기궐두통(氣厥頭痛)
, 혈허두통(血虛頭痛) | 
|  |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기허두통(氣虛頭痛) | 
|  |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 
|  |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항강(項强) |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 결명산(決明散) / 
안목적종(眼目赤腫)
, 예막(翳膜) | 
|  |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 
|  | 국화산(菊花散)[2] / 
수발황락(鬚髮黃落) | 
|  | 궁궁산(芎藭散)[1] / 
간허두훈(肝虛頭暈)
, 풍훈(風暈) | 
|  | 귀규탕(歸葵湯) / 
유루(流淚) | 
|  | 금주녹운유(金珠綠雲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혈허두통(血虛頭痛) | 
|  | 대고삼환(大苦蔘丸) / 
면창(面瘡)
, 염창(臁瘡) | 
|  |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 
|  | 만형산(蔓荊散) / 
타박상(打撲傷)
, 근골절상(筋骨折傷) | 
|  | 만형자(蔓荊子) / 
태양두통(太陽頭痛)
, 뇌명(腦鳴)
, 풍한두통(風寒頭痛) |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명(耳鳴)
, 이롱(耳聾) | 
|  |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도첩권모(倒睫拳毛)
, 안릉긴급(眼楞緊急) |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
, 유루(流淚) | 
|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 
|  | 박하단(薄荷丹) / 
나력(瘰癧) |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 복신황기탕(茯神黃芪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 삼성고(三聖膏)[1] / 
수발황락(鬚髮黃落) | 
|  | 생독오운유(生禿烏雲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 선열단(宣熱丹) / 
나력(瘰癧)
, 풍열(風熱) | 
|  | 선화산(蟬花散)[1] / 
안목적종(眼目赤腫)
, 유루(流淚)
, 예막(翳膜) | 
|  |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풍열(風熱) | 
|  |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 
|  | 소해산(消解散) / 
후류(喉瘤)
, 후균(喉菌) |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위풍(胃風)
, 면종(面腫) |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 
|  |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예막(翳膜)
, 외장(外障)
, 내장(內障) |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 신효명목탕(神效明目湯) / 
도첩권모(倒睫拳毛) | 
|  | 신효황기탕(神效黃芪湯) / 
마목(麻木) | 
|  | 안신탕(安神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頭風) |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 
|  | 영양각환(羚羊角丸) / 
녹풍내장(綠風內障) | 
|  |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 / 
노인안혼(老人眼昏) |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혈소신로(血少神勞)
, 신허내장(腎虛內障) | 
|  |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 
|  | 청량산(淸凉散)[1] / 
빙예(氷翳)
, 수하심예(水瑕深翳) |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 청총화담환(淸聰化痰丸) / 
간화이롱(肝火耳聾) | 
|  |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 
|  | 취선산(醉仙散) / 
대풍창(大風瘡) |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 
|  | 투빙단(透氷丹) / 
중풍열증(中風熱證)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 하수오산(何首烏散) / 
개선(疥癬) | 
|  | 현삼패모탕(玄蔘貝母湯) / 
이양(耳痒) | 
|  | 호마산(胡麻散) / 
자백전풍(紫白癜風)
, 은진(癮疹)
, 창개(瘡疥) | 
|  | 환골단(換骨丹)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