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두(鹿頭) / 사슴

익생양술에서
"사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녹두(鹿頭) / 사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우수리 |
채취기간 |
수시 |
| 키 |
80~90cm |
취급요령 |
탕으로 하여 쓴다. |
| 생지 |
산이나 들에 야생 |
성미 |
따뜻하며, 달다. |
| 분류 |
포유류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태생 |
1회사용량 |
적당량 |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고기는 장복해도 무방하다. |
| 동속약초 |
백두산사슴, 말사슴, 큰사슴, 누렁이 |
특징 및 사용
녹각은 사슴의 수컷 뿔이 뼈처럼 단단하게 되어 자연히 떨어진 것이고 녹용은 뿔이 뼈처럼 단단해지지 않은 어린 상태를 말린 것을 말한다. 사슴 피, 즉 녹혈은 인삼을 백일 동안 먹인 후 교미하기 전 채혈을 해야 최상품으로 얻을 수 있다. 수사슴의 고환 음경을 잘라 말린 것을 녹신, 녹편이라 한다. 네 다리가 가늘고 길어서 걷기에 적합하고 위는 소와 같이 되새김을 한다. 초식성이고 흔희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성질이 온순하다. 수컷은 골질(骨質)의 뿔이 한쌍 있는데, 해마다 봄철에 갈아난다. 새로운 뿔을 녹용이라 한다.
녹두(鹿頭) / 사슴 머리
| 라틴명 |
Cervi Capitis Caro |
| 약재의 효능 |
보기(補氣)
(기운을 보태주는 방법으로 기허증(氣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氣)는 폐(肺)에서 주재하는데 중초비위수곡(中焦脾胃水穀)의 정기(精氣)에서 발생되어상초(上焦) 개발에 의하여 전신에 수포(輸布)되므로 기허는 대개 폐(肺)와 비(脾)에서 원인을 찾는 방법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성미 |
평(平)
|
| 주의사항 |
전즙(煎汁) 복용. 교(膠)를 만들면 더욱 좋음.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녹두육(鹿頭肉) /
다몽(多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