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雀) / 참새

익생양술에서
"참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작(雀) / 참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이명
빈작(賓雀)
와작(瓦雀)
의인작(依人雀)
| 분포 |
전국 |
채취기간 |
연중 |
| 키 |
8~9cm |
취급요령 |
날것을 구워서 쓴다. |
| 생지 |
텃새 |
성미 |
따뜻하며, 달다. |
| 분류 |
조류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산란 |
1회사용량 |
3~5마리 |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장복하면 몸에 이롭다. |
특징 및 사용
참새과에 속하는 새로 날개 길이 7~7.5cm, 꽁지 길이 4.5~5.5cm이다. 몸빛은 다갈색이고 부리는 검으며 배는 희읍스름하다. 여름에는 곤충을 잡아 먹고 가을철에는 벼, 수수, 조 등 농작물을 해친다. 주로 인가 근처에서 살며 보통 때는 짹짹하고 우나 번식기에는 짹찡찌하며 빨리 운다. 살은 식용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널리 분포하여 사는 텃새이다.
작(雀) / 참새
| 라틴명 |
Passeris Caro |
| 약재의 효능 |
장양(壯陽)
(치료 방법으로 온보약(溫補藥)으로 허쇠한 심, 신의 양기를강장(强壯)시키는 것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축뇨(縮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보오장(補五臟)
(오장(五臟)을 보하는 효능임)
|
|
난요슬(暖腰膝)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신(腎)
|
| 성미 |
감(甘)
, 온(溫)
|
| 주의사항 |
10월 이후에 먹음. |
| 약재사용처방 |
작(鵲)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