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환(雷丸) / 구멍쟁이버섯
| 라틴명 | Omphalia |
| 약재의 효능 | 소감(消疳) (감병(疳病)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 구회(驅蛔) (회충(蛔蟲)을 몸밖으로 내보내는 것임.) | |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위(胃) |
| 성미 | 미고(微苦) , 한(寒)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오래 복용해서는 안됨. |
| 약재사용처방 | 관중환(貫衆丸) / 구충병(九蟲病) , 삼시충(三尸蟲) |
| 뇌환(雷丸) / 삼시충(三尸蟲) , 촌백충병(寸白蟲病) | |
| 만응환(萬應丸)[1] / 제충(諸蟲) | |
|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 복장충(腹藏蟲) | |
| 묘응환(妙應丸)[1] / 충적(蟲積) | |
| 무이산(蕪荑散)[1] / 회궐(蛔厥) | |
| 신응흑옥단(神應黑玉丹) / 오치(五痔) | |
| 십미노회환(十味蘆薈丸) / 감질(疳疾) | |
| 오선환(五仙丸) / 제충(諸蟲) | |
| 오지산(五枝散)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
| 웅사환(雄砂丸) / 제충(諸蟲) | |
|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 충적(蟲積) | |
|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 충적(蟲積) | |
| 화충산(化蟲散) / 회궐(蛔厥) | |
| 흑옥단(黑玉丹) / 치루(痔瘻)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