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발회(亂髮灰) / 사람
    
 

 동의보감에서 "난발회(亂髮灰) / 사람"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난발회(亂髮灰) / 머리카락 태운 재
 
| 라틴명 | 
Carbonisatus Crinis |  
| 약재의 효능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익음설열(益陰泄熱)
 (음기(陰氣)를 보익(補益)하고 열(熱)을 빼내는 효능임)
 |  
 | 
행락통어(行絡通瘀)
 (경락(經絡)을 소통시켜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 성미 | 
고(苦)
, 평(平)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 약재사용처방 | 
궁귀환(芎歸丸)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난발(亂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적백리(赤白痢)
 | 
 | 
난발회(亂髮灰)[1] / 
변혈(便血)
, 육혈(衄血)
, 구규출혈(九竅出血)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 
난발회(亂髮灰)[2] / 
소변불통(小便不通)
, 전포(轉胞)
, 오림(五淋)
 | 
 | 
난발회(亂髮灰)[3] / 
구취(口臭)
 | 
 | 
난발회(亂髮灰)[4] / 
음두창(陰頭瘡)
, 하감창(下疳瘡)
 | 
 | 
난발회(亂髮灰)[5] / 
열창(熱瘡)
 | 
 | 
발회환(髮灰丸) / 
요혈(尿血)
 | 
 | 
백묵산(柏墨散) / 
제풍(臍風)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3] / 
초생부제(初生不啼)
 | 
 | 
위피환(蝟皮丸) / 
치루(痔瘻)
 | 
 | 
평기산(平肌散) / 
부골저(附骨疽)
 | 
 | 
혈갈산(血竭散)[2] / 
치루(痔瘻)
 | 
 | 
활석산(滑石散)[1] / 
포전(胞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