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Crataegi Fructus |
| 약재의 효능 |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
|
마적(磨積)
(적취(積聚)를 해소하는 효능임)
|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도체(導滯)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제비(除痺})
(비(痞)를 제거하는 효능임)
|
|
보비(補脾)
(비(脾)의 기능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비의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보충하는 치법임.)
|
|
건위(健胃)
(위(胃)의 소화기능을 강하게 하는 방법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구조충(驅條蟲)
(벌레를 제거하는 치료 방법임.)
|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위(胃)
|
| 성미 |
미온(微溫)
, 산감(酸甘)
|
| 주의사항 |
위중무적(胃中無積), 비허오식(脾虛惡食), 우치(齲齒)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
| 독성 |
The LD50 for 10% Crataegi Fructus extract is 33.8 ml/kg for rat and 18.5 ml/kg for mice.1). It causes uterine contractions but neither contraindicates it in pregnancy 2).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식상(食傷)
, 숙식(宿食)
|
|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
|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
|
가미월국환(加味越麴丸) /
울증(鬱證)
|
|
각병연수탕(却病延壽湯) /
노인소수단소(老人小水短少)
|
|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
|
건비환(健脾丸) /
식상(食傷)
|
|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
|
궤견탕(潰堅湯) /
오적(五積)
, 비괴(痞塊)
, 육취(六聚)
|
|
궤견환(潰堅丸) /
비괴(痞塊)
, 육취(六聚)
, 오적(五積)
|
|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
|
대안환(大安丸) /
식적(食積)
|
|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
|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
, 적취(積聚)
|
|
보화환(保和丸)[2]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비아환(肥兒丸) /
감질(疳疾)
|
|
산사국출환(山査麴朮丸) /
비설(脾泄)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
|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
|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
|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
|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
|
소온중환(小溫中丸) /
곡달(穀疸)
|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기혈응체(氣血凝滯)
, 식적(食積)
, 담음(痰飮)
|
|
연라환(連蘿丸) /
조잡(嘈雜)
, 비괴(痞塊)
, 현훈(眩暈)
|
|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
|
오부통기탕(烏附通氣湯) /
산통(疝痛)
|
|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
|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
|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
|
좌비환(佐脾丸) /
식적(食積)
|
|
죽력기출환(竹瀝枳朮丸) /
담음(痰飮)
|
|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현벽(痃癖)
, 징가(癥瘕)
|
|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
|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
|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
|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
|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
, 오적(五積)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
|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
|
황과루환(黃瓜蔞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