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래붓꽃
학명
Iris pallasii var. chinensis
|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9~10월(열매 성숙기) |
| 키 |
30~5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 생지 |
산지의 건조한 곳 |
성미 |
평온하며, 달다. |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3~6g |
| 약효 |
씨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잎은 2줄로 달리는데 선형이며 길이 30~40cm, 나비 5mm 정도로 비틀려서 자란다. 표면은 잿빛을 띤 녹색이지만 밑 부분은 자줏빛이 돈다.
꽃
5~6월에 하늘빛이 도는 자주색 꽃이 꽃줄기 끝에 한 송이씩 달려 피는데 향기가 있다. 꽃의 지름은 3.8~5cm이고 꽃자루 끝의 잎처럼 생긴 꽃턱잎 사이에 2~4개가 달린다. 바깥 꽃덮이 조각은 3개이고 좁은 달걀꼴이며 옆으로 퍼지면서 끝이 젖혀진다. 안쪽 꽃덮이 조각도 3개인데 거꾸로 선 댓잎피침형이며 곧게 선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다시 2개로 얕게 갈라진다.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7~8월에 길이 약 6cm, 지름 1cm 정도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끝이 부리처럼 길다.
특징 및 사용
옆으로 자라는 뿌리줄기에서 줄기가 나와 곧게 서는데 여러 대가 뭉쳐나와 커다란 포기를 이룬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씨를 마린자, 꽃을 마린화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순환계와 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마린근(馬藺根) / 타래붓꽃 뿌리
| 라틴명 |
Iridis Radix |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구수사(救垂死)
(높은 곳에서 떨어져 위험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
거백충(去白蟲)
(모든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성미 |
감(甘)
, 평(平)
|
| 주의사항 |
많이 복용해서는 안됨. |
| 약재사용처방 |
마린근(馬藺根)[1] /
후폐위급(喉閉危急)
|
|
마린근(馬藺根)[2] /
치루(痔瘻)
|
|
해균심독일방(解菌蕈毒一方)[1] /
균심독(菌蕈毒)
|
마린자(馬藺子) / 타래붓꽃 씨
마린화(馬藺花) / 타래붓꽃
| 라틴명 |
Iridis Flos |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구수사(救垂死)
(높은 곳에서 떨어져 위험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
거백충(去白蟲)
(모든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성미 |
양(凉)
, 함산고(鹹酸苦)
|
| 약재사용처방 |
마린화환(馬藺花丸) /
음란편추(陰卵偏墜)
, 퇴산(㿉疝)
|
|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퇴산(㿉疝)
, 한산(寒疝)
|
|
회향연실환(茴香楝實丸) /
가취(瘕聚)
, 칠산(七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