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토끼꽃
    
 
 
 
 
 
 
 
 
 
 
 
 
 
 
 
 
 
  
 
	
 
 
  이명
 남초(南草)
 
 용두(龍豆)
 
 접골(接骨)
 
 천단(川斷)
 
 
 
  
     
    
 
    
| 분포 | 
중부 지방 | 
채취기간 | 
9~10월(1년생 뿌리) | 
| 키 | 
1m 정도 |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 
| 생지 | 
산과 들의 반음지 | 
성미 | 
따뜻하며, 쓰다. | 
| 분류 | 
두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실생ㆍ분주 | 
1회사용량 | 
6~10g | 
| 약효 | 
뿌리ㆍ꽃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마주나며 줄기 밑 부분의 잎은 깃처럼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잎자루가 길고 날개가 있다. 갈라진 조각은 밑에 달린 것일수록 작고 끝의 것이 제일 큰데 길이 6~15cm의 긴 타원형 또는 4각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 위쪽의 잎은 작고 갈라지지 않으며 잎자루가 없다.
 
 
꽃
8월에 붉은빛을 띠는 자주색으로 피는데 긴 꽃줄기 끝에 길이 2~3cm인 타원형의 두상화가 달린다. 꽃차례 밑 부분에 길이 5~20mm의 꽃턱잎이 있는데 좁고 긴 선형이다. 꽃부리는 길이 6~8mm의 통 모양이고 끝이 4개로 갈라진다. 꽃부리 밑 부분에 있는 비늘조각의 뒷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끝에는 굳센 털과 더불어 침 같은 가시가 있다. 수술은 4개이고 암술대와 함께 꽃부리 밖으로 나온다.
 
 
열매
10월에 길이 5~6mm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8개의 모가 난 줄이 있다.
 
 
특징 및 사용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밑 부분에 가시 모양의 억센 털이 있고 위쪽에 모가 난 줄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경을 다스리며, 부인병증에도 효험이 있다.
 
 
     
 
 
 
 
 
 
 
 
 
 
 
 
 
 
속단(續斷) / 산토끼꽃 뿌리
 
| 라틴명 | 
Dipsaci Radix |  
| 약재의 효능 | 
보간신(補肝腎)
 (간(肝)과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  
 |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  
 | 
속절상(續折傷)
 (뼈가 부러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지붕루(止崩漏)
 (붕루(崩漏)를 치료하는 효능임)
 |  
 | 
파어혈(破瘀血)
 (어혈(瘀血)을 없애는 작용이 비교적 강한 약으로 어혈을 없애는 방법임.)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난자궁(暖子宮)
 (자궁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익근골(益筋骨)
 (근골(筋骨)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치요신(治腰腎)
 |  
 | 
익기(益氣)
 |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 성미 | 
고신(苦辛)
, 미온(微溫)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 주의사항 | 
혈병(血病)에 고한약(苦寒藥)을 쓰거나, 태전(胎前)에 대신열약(大辛熱藥)을 함께 쓰지 말 것. |  
| 약재사용처방 |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 
 |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1] / 
신허요통(腎虛腰痛)
, 목현(目眩)
, 이롱(耳聾)
 | 
 |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2] / 
신허목현(腎虛目眩)
, 요통(腰痛)
, 신허이롱(腎虛耳聾)
 | 
 | 
당귀기생탕(當歸寄生湯) / 
태루(胎漏)
, 태동불안(胎動不安)
 | 
 | 
대건중탕(大建中湯) / 
허로(虛勞)
, 소복급통(小腹急痛)
 | 
 | 
두속환(杜續丸) / 
태동불안(胎動不安)
 | 
 | 
만금탕(萬金湯) / 
사지불수(四肢不遂)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삼비탕(三痺湯) / 
풍비(風痺)
, 기혈응체(氣血凝滯)
 | 
 | 
상기생산(桑寄生散) / 
태루(胎漏)
 | 
 |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속단(續斷)[1] / 
요통(腰痛)
 | 
 | 
속단(續斷)[2] / 
손상어혈(損傷瘀血)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 
 |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 
 |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 
중풍(中風)
, 반신불수(半身不遂)
 | 
 | 
전홍원(剪紅元)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 
반산(半産)
 | 
 |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 
 | 
활혈산(活血散)[1] / 
도창상(刀槍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