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Stalactitum | 
| 약재의 효능 | 온폐(溫肺)
 (폐한증(肺寒證)을 치료하는 방법.) | 
|  | 장양(壯陽)
 (치료 방법으로 온보약(溫補藥)으로 허쇠한 심, 신의 양기를강장(强壯)시키는 것임.) | 
|  | 평천(平喘)
 (천(喘)을 치료하는 방법임.) | 
|  | 하유(下乳)
 (산모의 젖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 제산(制酸) |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 보기(補氣)
 (기운을 보태주는 방법으로 기허증(氣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氣)는 폐(肺)에서 주재하는데 중초비위수곡(中焦脾胃水穀)의 정기(精氣)에서 발생되어상초(上焦) 개발에 의하여 전신에 수포(輸布)되므로 기허는 대개 폐(肺)와 비(脾)에서 원인을 찾는 방법임.) | 
|  | 개성(開聲)
 (목소리가 잘 나오도록 하는 효능임) | 
|  |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 
|  | 이구규(利九竅)
 (구규(九竅)가 막힌 것을 뚫는 효능임) | 
|  | 최유(催乳)
 (산후에 젖이 모자라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 연년익수(延年益壽)
 (경옥고(瓊玉膏), 삼정환(三精丸), 국화주(菊花酒)와 같은 약으로 오래 살게 하는 것임.) | 
| 작용부위 | 신(腎)
, 위(胃)
, 폐(肺) | 
| 성미 | 감(甘)
, 온(溫)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 약재사용처방 | 맥문동탕(麥門冬湯)[1] / 
혈일(血溢)
, 학질(瘧疾)
, 혈설(血泄)
, 해역상기(咳逆上氣) | 
|  | 보진환(補眞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 불사식(不思食) | 
|  | 통성오보단(通聖五寶丹) / 
양매창(楊梅瘡)
, 아장선(鵝掌癬)
, 천포창(天疱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