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Acori Graminei Rhizoma |  
| 약재의 효능 | 
개심공(開心孔)
 (심공(心孔)을 열어주는 효능임)
 |  
 | 
이구규(利九竅)
 (구규(九竅)가 막힌 것을 뚫는 효능임)
 |  
 | 
보오장(補五臟)
 (오장(五臟)을 보하는 효능임)
 |  
 | 
난장위(暖腸胃)
 (장위(腸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발성음(發聲音)
 (목소리를 회복시키는 효능임)
 |  
 | 
거습(祛濕)
 (약재를 이용하여 습사(濕邪)를 없애는 것임)
 |  
 | 
제풍(除風)
 (풍(風)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축담(逐痰)
 (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벽악(辟惡)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악기(惡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열비(悅脾)
 |  
 | 
산적(散積)
 (적체된 것을 해소하는 효능임)
 |  
 | 
분청화탁(分淸化濁)
 (소장(小腸)에서 소변(小便)과 대변(大便)의 생성과정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 효능임)
 |  
 | 
선신익지(醒神益智)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 작용부위 | 
심(心)
, 위(胃)
 | 
| 성미 | 
미온(微溫)
, 신고(辛苦)
 |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 독성 | 
Not to be used pregnancy 1).  1)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  
| 약재사용처방 | 
가감고본환(加減固本丸) / 
노인혼모(老人昏冒)
 | 
 |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건망(健忘)
 | 
 |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역양풍(癧瘍風)
, 개선(疥癬)
, 자백전풍(紫白癜風)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1] / 
유정(遺精)
 | 
 |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 
 | 
개심산(開心散) / 
건망(健忘)
 | 
 |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 / 
건망(健忘)
 | 
 | 
구선영응산(九仙靈應散) / 
음위(陰痿)
 | 
 | 
궁귀음(芎歸飮) / 
이명(耳鳴)
, 풍롱(風聾)
 | 
 | 
궁지산(芎芷散) / 
이명(耳鳴)
, 풍롱(風聾)
 | 
 | 
극통산(튽痛散) / 
냉심통(冷心痛)
 | 
 |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 
 |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 
 |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기통(氣痛)
, 종창(腫脹)
 | 
 |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 
 | 
벽사단(辟邪丹)[2] / 
사수(邪祟)
 | 
 |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 
 | 
복신탕(茯神湯)[2] / 
부인귀교(婦人鬼交)
, 언어섬란(言語譫亂)
 | 
 | 
복신황기탕(茯神黃芪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 
 |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사신탕(瀉腎湯) / 
임(淋)
 | 
 |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 
 | 
삼령원(蔘苓元) / 
식역증(食㑊症)
 | 
 | 
상표소산(桑螵蛸散)[1]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색이단(塞耳丹) / 
농외(聾聵)
 | 
 | 
서각음자(犀角飮子) / 
이롱(耳聾)
, 농이(膿耳)
 | 
 | 
석창포(石菖蒲)[1] / 
건망(健忘)
, 전간(癲癎)
 | 
 | 
석창포(石菖蒲)[4] / 
복장충(腹藏蟲)
 | 
 | 
석창포(石菖蒲)[5] / 
비사입목(飛絲入目)
 | 
 | 
섭생음(攝生飮) / 
졸중풍(卒中風)
 | 
 | 
성산자(聖散子) / 
습온(濕溫)
, 풍온(風溫)
, 역려(疫癘)
 | 
 | 
성심산(醒心散) / 
심허열(心虛熱)
 | 
 |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 
 |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 
양영탕(養榮湯) / 
수족불인(手足不仁)
, 불어(不語)
, 풍중혈맥(風中血脈)
 | 
 | 
여의단(如意丹) / 
귀수(鬼祟)
, 전광(癲狂)
, 온역(瘟疫)
, 노채(勞瘵)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 
 |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 
전광(癲狂)
 | 
 | 
오사고삼원(烏蛇苦蔘元) / 
대풍창(大風瘡)
 | 
 | 
이삼단(二蔘丹) / 
중풍(中風)
, 건망(健忘)
 | 
 | 
익신산(益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 
 |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 
 |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전설고(轉舌膏)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 
 | 
정신단(靜神丹) / 
경계(驚悸)
 | 
 | 
정심원(定心元) / 
노육반정(努肉攀睛)
 | 
 | 
정지환(定志丸) / 
심허(心虛)
, 건망(健忘)
 | 
 | 
조원산(調元散) / 
행지(行遲)
 | 
 | 
주자독서환(朱子讀書丸) / 
건망(健忘)
 | 
 |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 
 |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 
전광(癲狂)
, 경계(驚悸)
 | 
 | 
창포환(菖蒲丸) / 
어지(語遲)
 | 
 | 
척담탕(滌痰湯) / 
중풍(中風)
, 담미심규(痰迷心竅)
 | 
 |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 
 |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천화산(天花散)[3] / 
두후실음(痘後失音)
 | 
 | 
청신산(淸神散) / 
이중청(耳重聽)
 | 
 |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어삽(語澁)
, 중풍(中風)
 | 
 |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 
 | 
총명탕(聰明湯) / 
건망(健忘)
 | 
 | 
축보환(丑寶丸)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칠진산(七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태무신출산(太無神朮散) / 
장역(瘴疫)
, 사시온역(四時瘟疫)
 | 
 | 
투이통(透耳筒) / 
이명(耳鳴)
, 졸롱(卒聾)
 | 
 | 
팔물정지원(八物定志元) / 
경계(驚悸)
 | 
 | 
팔진산(八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해어환(解語丸) / 
중풍(中風)
, 어삽(語澁)
 | 
 |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 
 | 
형소탕(荊蘇湯) / 
풍한졸아(風寒卒牙)
 | 
 | 
호마산(胡麻散) / 
자백전풍(紫白癜風)
, 은진(癮疹)
, 창개(瘡疥)
 | 
 | 
화제추도산(和劑抽刀散) / 
한적복통(寒積腹痛)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 
 |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