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양(鎖陽) / 쇄양
| 라틴명 | Cynomorii Herba |
| 약재의 효능 | 보신장양(補腎壯陽) (신(腎)을 보하고 인체의 양기(陽氣)를 강건하게 하는 효능임) |
| 익정혈(益精血) (정혈(精血)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 양근(養筋) (근육에 양분을 공급하는 효능임) | |
| 활장(滑腸) (장(腸)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임) | |
| 대보원양(大補元陽) (원양(元陽)을 강하게 보하는 효능임) |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신(腎) |
| 성미 | 감(甘) , 온(溫)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 주의사항 | 대변조결(大便燥結)이 아니면 쓰지 말 것. |
| 독성 | Contraindicated in patients with diarrhea 1).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
|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 보음환(補陰丸)[2]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몽설(夢泄) , 음허화동(陰虛火動) , 객혈(喀血) | |
|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 |
|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 |
| 신귀자음환(神龜滋陰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 |
| 호잠환(虎潛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