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Myrrha |  
| 약재의 효능 | 
산결기(散結氣)
 (기가 울체되어 맺힌 것을 풀어주는 것임.)
 |  
 | 
통어혈(通瘀血)
 (어혈을 소통시켜 제거하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산혈소종(散血消腫)
 |  
 | 
생기정통(生肌定痛)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 성미 | 
고(苦)
, 평(平)
 |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 주의사항 | 
수지(樹脂).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  
| 약재사용처방 |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 
 |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 
각슬산통(脚膝酸痛)
, 각슬위약(脚膝痿弱)
 | 
 |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 
옹저(癰疽)
 | 
 | 
가미청아원(加味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2] / 
이질(痢疾)
 | 
 | 
거악산(去惡散) / 
제창(諸瘡)
, 옹저(癰疽)
 | 
 | 
고류방(枯瘤方) / 
영류(瘿瘤)
 | 
 | 
과루산(瓜蔞散) / 
유옹(乳癰)
 | 
 | 
구고고(救苦膏) / 
풍습산통(風濕痠痛)
 | 
 | 
구보환(狗寶丸)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부골저(附骨疽)
 | 
 | 
귤엽산(橘葉散) / 
유옹(乳癰)
, 유방결핵(乳房結核)
 | 
 | 
기침산(起枕散) / 
아침통(兒枕痛)
 | 
 |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 
 |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두옹(肚癰)
, 내저(內疽)
, 위완옹(胃脘癰)
 | 
 | 
녹각교환(鹿角膠丸)[1] / 
소변적탁(小便赤濁)
 | 
 |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 
산후요통(産後腰痛)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 
 | 
만금일취고(萬金一醉膏) / 
유옹(乳癰)
 | 
 | 
만응고(萬應膏)[1] / 
열독종(熱毒腫)
, 옹저(癰疽)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맥두산(麥斗散) / 
골절(骨折)
, 근단(筋斷)
 | 
 | 
명경고(明鏡膏) / 
목삽혼화(目澁昏花)
 | 
 | 
모과전(木瓜煎) / 
항강(項强)
 | 
 | 
목향금령환(木香金鈴丸) / 
산(疝)
, 외신종창통(外腎腫脹痛)
 | 
 | 
몰약(沒藥) / 
장창(杖瘡)
 | 
 | 
몰약강성단(沒藥降聖丹) / 
근단(筋斷)
, 골절(骨折)
, 타박상(打撲傷)
 | 
 | 
몰약산(沒藥散)[1] / 
백구창(白口瘡)
 | 
 | 
몰약산(沒藥散)[2] / 
산후혈결복통(産後血結腹痛)
 | 
 | 
반혼단(返魂丹) / 
정창(釘瘡)
 | 
 | 
백개자산(白芥子散) / 
견비통(肩臂痛)
 | 
 | 
백교향산(白膠香散) / 
내염창(內炎瘡)
, 외렴창(外廉瘡)
 | 
 | 
백배환(百倍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좌섬(挫閃)
, 절상(折傷)
 | 
 | 
보수단(補髓丹)[1]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 / 
발배(發背)
, 유옹(乳癰)
, 정창(釘瘡)
 | 
 | 
비전신응고(秘傳神應膏) / 
치루(痔瘻)
 | 
 | 
사미탕(四味湯) / 
산후혈훈(産後血暈)
 | 
 |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 
치통(齒痛)
 | 
 | 
삼인호박산(三因琥珀散) / 
삽통(澁痛)
, 오림(五淋)
 | 
 | 
상청산(上淸散) / 
풍두통(風頭痛)
, 미능골통(眉稜骨痛)
 | 
 | 
상품정자(上品錠子) / 
치루(痔瘻)
 | 
 | 
서성복전환(西聖復煎丸) / 
양매창(楊梅瘡)
 | 
 | 
석영산(石英散) / 
석가(石瘕)
 | 
 |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옹저(癰疽)
, 악창(惡瘡)
 | 
 |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 
 |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 
 | 
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 
유옹(乳癰)
, 무명종독(無名腫毒)
, 내저(內疽)
, 발배(發背)
 | 
 | 
성부산(星附散)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 
 | 
소조경산(小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 
 | 
수념산(手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 
 | 
수징고(水澄膏) / 
수족종통(手足腫痛)
, 옹저(癰疽)
 | 
 |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 
 | 
신선취보단(神仙聚寶丹)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신선침사원(神仙沈麝元) / 
기통(氣痛)
 | 
 |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1] / 
혈산(血疝)
 | 
 |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2] / 
산통(疝痛)
 | 
 | 
신첩고(神捷膏) / 
외렴창(外廉瘡)
, 내염창(內炎瘡)
 | 
 | 
신효과루산(神效瓜蔞散) / 
유옹(乳癰)
, 유암(乳巖)
 | 
 | 
심통원(尋痛元) / 
제상(諸傷)
 | 
 | 
어한고(禦寒膏) / 
배한(背寒)
 | 
 | 
연년호명단(延年護命丹) / 
적취(積聚)
, 혈적(血積)
, 충적(蟲積)
 | 
 |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 
발배(發背)
, 정창(釘瘡)
, 음저(陰疽)
 | 
 | 
오공유(蜈蚣油)[3] / 
치루(痔瘻)
 | 
 | 
오령환(五靈丸) / 
역절풍(歷節風)
 | 
 |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 
 | 
요토고(窑土膏) / 
외렴창(外廉瘡)
 | 
 | 
용골고(龍骨膏) / 
외렴창(外廉瘡)
 | 
 | 
용호단(龍虎丹) / 
반신마목(半身麻木)
, 통풍(痛風)
 | 
 |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나력(瘰癧)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웅황산(雄黃散)[3] / 
창중악육(瘡中惡肉)
 | 
 | 
유향산(乳香散)[1] / 
구창(口瘡)
 | 
 | 
유향산(乳香散)[2] / 
타박상(打撲傷)
 | 
 | 
유향산(乳香散)[3] / 
장창(杖瘡)
 | 
 | 
유향산(乳香散)[4] / 
반장내조(盤腸內釣)
 | 
 | 
유향정통산(乳香定痛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 
 |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 
역절풍(歷節風)
 | 
 |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 
 | 
육성산(六聖散) / 
정두통(正頭痛)
, 편두통(偏頭痛)
 | 
 | 
일념금(一捻金) / 
정저(疔疽)
 | 
 | 
일립금단(一粒金丹)[2] / 
일체풍(一切風)
 | 
 | 
입효산(立效散)[6] / 
취유(吹乳)
 | 
 | 
자연동산(自然銅散) / 
타박상(打撲傷)
, 근골절상(筋骨折傷)
 | 
 | 
접골단(接骨丹) / 
골절(骨折)
 | 
 | 
접골산(接骨散) / 
골절(骨折)
 | 
 | 
접골자금단(接骨紫金丹) / 
골절(骨折)
 | 
 |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조등고(釣藤膏) / 
내조(內釣)
, 경풍(驚風)
 | 
 | 
중품정자(中品錠子) / 
번화창(飜花瘡)
, 영류(瘿瘤)
 | 
 | 
지황원(地黃元) / 
독서손목(讀書損目)
 | 
 | 
진주산(珍珠散) / 
하감창(下疳瘡)
 | 
 | 
진통산(趁痛散) / 
통풍(痛風)
 | 
 | 
착호단(捉虎丹)[1] / 
각기(脚氣)
 | 
 | 
착호단(捉虎丹)[2]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 한습각기(寒濕脚氣)
 | 
 | 
채명단(寨命丹) / 
변독(便毒)
, 유옹(乳癰)
, 정창(釘瘡)
 | 
 |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옹저(癰疽)
, 장옹(腸癰)
, 유옹(乳癰)
 | 
 | 
천금산(千金散)[1] / 
양매창(楊梅瘡)
 | 
 | 
천문동탕(天門冬湯) / 
육혈(衄血)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천화산(天花散)[2] / 
나력(瘰癧)
 | 
 | 
철탄원(鐵彈元) / 
탄탄(癱瘓)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체침환(替鍼丸)[1] / 
옹저(癰疽)
 | 
 | 
체침환(替鍼丸)[2] / 
옹저(癰疽)
 | 
 | 
추풍산(追風散)[1] / 
편두풍(偏頭風)
, 정두풍(正頭風)
 | 
 | 
취옥고(翠玉膏) / 
염창(臁瘡)
 | 
 | 
치아동방(治牙疼方) / 
아치통(牙齒痛)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1]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치월폐일방(治月閉一方) / 
월폐(月閉)
 | 
 | 
침수고(沈水膏)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 
탈명산(奪命散)[5] / 
산후혈훈(産後血暈)
 | 
 | 
탐생산(探生散) / 
만경풍(慢驚風)
, 급경풍(急驚風)
 | 
 | 
현호색산(玄胡索散) / 
혈결흉(血結胸)
 | 
 |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 
포랭무자(胞冷無子)
 | 
 |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2] / 
포랭무자(胞冷無子)
 | 
 | 
호박주사환(琥珀朱砂丸) / 
경계(驚悸)
 | 
 | 
혼원단(混元丹) / 
허로이수(虛勞羸瘦)
 | 
 | 
화독단(化毒丹) / 
독종(毒腫)
, 악창(惡瘡)
 | 
 | 
환골산(換骨散) / 
천포창(天疱瘡)
 | 
 |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 
 | 
활락단(活絡丹) / 
근맥구련(筋脈拘攣)
, 통풍(痛風)
 | 
 | 
활혼단(活魂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회생보명단(回生保命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회향(茴香)[3] / 
소장산(小腸疝)
 | 
 |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