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Quisqualis Fructus | 
| 약재의 효능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 건비위(健脾胃)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 
|  | 제허열(除虛熱)
 (허열(虛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 구회소감(驅蛔消疳)
 (회충을 치료하고 감병(疳病)을 치료하는 효능임) | 
|  | 소적살충(消積殺蟲) |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 성미 | 감(甘)
, 온(溫)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 약재사용처방 |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 
|  | 묘응환(妙應丸)[1] / 
충적(蟲積) | 
|  | 벽금산(碧金散) / 
촌백충병(寸白蟲病) | 
|  | 비아환(肥兒丸) / 
감질(疳疾) | 
|  | 사군자(使君子)[1] / 
회궐심통(蛔厥心痛) | 
|  | 사군자(使君子)[2] / 
촌백충병(寸白蟲病)
, 소아감충(小兒疳蟲)
, 회충(蛔蟲) | 
|  | 사군자환(使君子丸) / 
냉감(冷疳) | 
|  | 사보단(四寶丹)[1] / 
황달(黃疸)
, 달벽(疸癖) | 
|  | 사보단(四寶丹)[2] / 
황달(黃疸)
, 달벽(疸癖) | 
|  | 사보단(四寶丹)[3] / 
황달(黃疸)
, 달벽(疸癖) | 
|  | 사보단(四寶丹)[4] / 
황달(黃疸)
, 달벽(疸癖) | 
|  |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 
|  | 소적환(消積丸) / 
기급(氣急)
, 복창(腹脹)
, 유식적체(乳食積滯) | 
|  | 십전단(十全丹) / 
정해감(丁奚疳)
, 무고감(無辜疳) | 
|  | 여성환(如聖丸) / 
냉열감(冷熱疳) | 
|  |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 
|  | 용담원(龍膽元) / 
열감(熱疳) | 
|  | 지성환(至聖丸) / 
냉감(冷疳) | 
|  |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 
|  |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 
충적(蟲積) | 
|  | 추충환(追蟲丸) / 
충적(蟲積) | 
|  | 치황달애끽잡물일방(治黃疸愛喫雜物一方) / 
담벽(痰癖) | 
|  | 포대환(布袋丸) / 
정해감(丁奚疳)
, 무고감(無辜疳) | 
|  | 하충산(下蟲散) / 
복장충(腹藏蟲) | 
|  | 하충환(下蟲丸) / 
회감(蛔疳) | 
|  | 화충산(化蟲散) / 
회궐(蛔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