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Cimicifugae Rhizoma | 
| 약재의 효능 | 승양(升陽)
 (양기(陽氣)를 끌어올리는 효능임) | 
|  | 안혼(安魂)
 (혼(魂)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 
|  | 정백(定魄)
 (백(魄)을 바로잡는 효능임) | 
|  | 발표(發表)
 (표사(表邪)를 발산시키는 치료법의 일종임.) | 
|  | 투진(透疹)
 (진독(疹毒)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임) |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 보비위(補脾胃)
 (비위(脾胃)를 보하는 효능임) | 
|  | 행어혈(行瘀血)
 (어혈(瘀血)을 소통시켜 풀어주는 효능임) | 
|  | 살정귀(殺精鬼) | 
|  | 토고독(吐蠱毒) | 
|  | 인약상행(引藥上行)
 (약력(藥力)을 위로 끌어올리는 효능임) | 
|  | 청위양혈(淸胃凉血) | 
|  | 소산풍열(疏散風熱)
 (풍열(風熱)의 독(毒)을 발산(發散)하여 해소하는 효능임) | 
|  | 선투중초(宣透中焦) | 
|  | 경신연년(輕身延年)
 (몸을 가볍게 하고 수명을 늘리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위(胃)
, 폐(肺) | 
| 성미 | 신고(辛苦)
, 양(凉) |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중국약전 | 
| 주의사항 | 뿌리줄기 | 
| 약재사용처방 |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 
|  |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구리(久痢) | 
|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치(痔)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 
구설생창(口舌生瘡)
, 두진(痘疹) |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1] / 
유정(遺精) | 
|  | 가미익기탕(加味益氣湯) / 
상한(傷寒) | 
|  |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허두통(氣虛頭痛)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갈근맥문동산(葛根麥門冬散) / 
반진(斑疹) | 
|  |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1] / 
비건(鼻乾)
, 양명경병(陽明經病)
, 안동(眼疼) | 
|  |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 
|  | 감초탕(甘草湯)[2] / 
상한음독(傷寒陰毒) | 
|  |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1] / 
뇌풍(腦風)
, 궐역두통(厥逆頭痛)
, 치통(齒痛) | 
|  | 강활산(羌活散) / 
치근동요(齒根動搖)
, 풍랭치통(風冷齒痛)
, 치아탈락(齒牙脫落) | 
|  |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 
붕루(崩漏) | 
|  |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중만(中滿)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복창(腹脹) | 
|  | 괴화산(槐花散)[2] / 
장독(臟毒) | 
|  | 괵귀산(馘鬼散) / 
치통(齒痛) | 
|  |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  | 귀규탕(歸葵湯) / 
유루(流淚) | 
|  | 귀원산(歸元散)[1] / 
몽설(夢泄)
, 중기하함(中氣下陷) | 
|  | 기제해독탕(旣濟解毒湯) / 
대두온(大頭瘟) | 
|  | 난향음자(蘭香飮子) / 
소갈(消渴) | 
|  |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 
|  |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附骨疽) | 
|  | 내탁승마탕(內托升麻湯) / 
유옹(乳癰)
, 악창(惡瘡) | 
|  | 누로산(漏蘆散)[2] / 
대두온(大頭瘟) | 
|  | 누로음자(漏蘆飮子) / 
부골저(附骨疽)
, 악창(惡瘡) | 
|  |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 
각기(脚氣) | 
|  |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 
치통(齒痛) | 
|  | 당귀윤조탕(當歸潤燥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 
장풍(腸風) | 
|  | 당귀황기음(當歸黃芪飮) / 
산후음탈(産後陰脫) | 
|  | 대강활탕(大羌活湯)[1] / 
역절풍(歷節風) | 
|  | 대계음자(大薊飮子)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 대황음자(大黃飮子)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도씨마황탕(陶氏麻黃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1] / 
상한육혈(傷寒衄血) | 
|  |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2] / 
구설(久泄) |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명(耳鳴)
, 이롱(耳聾) | 
|  | 목단피탕(牡丹皮湯)[2] / 
폐옹(肺癰) | 
|  |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 | 
|  |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 
|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 
|  |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 
|  |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 
비옹(臂癰) | 
|  | 백출탕(白朮湯)[1] / 
파상풍(破傷風) | 
|  | 백화사환(白花蛇丸) / 
백라창(白癩瘡) | 
|  |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 
|  |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 
대두온(大頭瘟) | 
|  | 보중승독병(補中勝毒餠)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1] / 
노권(勞倦) | 
|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2] / 
노권(勞倦) | 
|  | 보중치습탕(補中治濕湯) / 
수종(水腫) | 
|  | 사간탕(射干湯)[2] / 
위완옹(胃脘癰) | 
|  | 사물해기탕(四物解肌湯) / 
두창발열(痘瘡發熱) | 
|  | 사습탕(瀉濕湯) / 
습설(濕泄) | 
|  | 사황음자(瀉黃飮子) / 
견순(繭脣) | 
|  |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 삼기탕(蔘芪湯)[3] / 
소변불금(小便不禁) | 
|  | 삼기탕(蔘芪湯)[4]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  | 삼양탕(三陽湯) / 
삼양두통(三陽頭痛) | 
|  | 삼출보비탕(蔘朮補脾湯) / 
폐옹(肺癰) | 
|  | 삼출탕(蔘朮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 비위허약(脾胃虛弱) | 
|  |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 
|  |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 
|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1] / 
면종(面腫) | 
|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 서각탕(犀角湯) / 
결양(結陽) | 
|  | 서각현삼탕(犀角玄蔘湯) / 
반진(斑疹) | 
|  |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 
|  |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 
|  | 소수독음자(消水毒飮子) / 
수독(水毒) | 
|  |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중풍(中風)
, 반신불수(半身不遂) | 
|  |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승마(升麻)[1] / 
비비(脾痺) | 
|  | 승마(升麻)[2] / 
감닉(疳䘌)
, 구창(口瘡) | 
|  | 승마(升麻)[3] / 
아치감닉창(牙齒疳䘌瘡)
, 아치동요(牙齒動搖) | 
|  | 승마(升麻)[4] / 
인후비종(咽喉痺腫) | 
|  |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1] / 
온병(溫病)
, 사시상한(四時傷寒) | 
|  |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2] / 
주상(酒傷) | 
|  |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 / 
음독발반(陰毒發斑) | 
|  |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面寒) | 
|  | 승마산(升麻散) / 
구미(口糜) | 
|  |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위풍(胃風)
, 면종(面腫) | 
|  |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 
|  |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 
|  | 승마탕(升麻湯)[2] / 
열비(熱痺) | 
|  |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 
|  |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 
면열(面熱) | 
|  | 승마황련환(升麻黃連丸) / 
구취(口臭) | 
|  | 승발이진탕(升發二陳湯) / 
담울(痰鬱) | 
|  |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 
|  |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 
|  |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 
오심번열(五心煩熱) |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 
전광(癲狂)
, 노기상간(怒氣傷肝) |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2] / 
노권(勞倦)
, 내상(內傷)
, 중기부족(中氣不足) |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 
|  |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 
|  |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 
|  | 시호기각탕(柴胡枳殼湯) / 
임신상한(妊娠傷寒) |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2] / 
온역(瘟疫) | 
|  |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 
붕루(崩漏) | 
|  | 신공산(神功散) / 
두출과밀(痘出過密) | 
|  | 신공환(神功丸) / 
치아감식(齒牙疳蝕) | 
|  |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
, 온역(瘟疫) | 
|  | 신해탕(神解湯) / 
두창발열(痘瘡發熱) | 
|  | 신허위열아동방(腎虛胃熱牙疼方) / 
치통(齒痛) | 
|  | 십신탕(十神湯)[1] / 
상한표증(傷寒表證) | 
|  | 십신탕(十神湯)[2] / 
온역(瘟疫) | 
|  | 안신탕(安神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양독승마탕(陽毒升麻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  | 양독치자탕(陽毒梔子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  | 양혈음(凉血飮)[1] / 
치루(痔瘻) |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 
|  | 어한탕(禦寒湯) / 
비색(鼻塞) | 
|  |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 
비색(鼻塞) | 
|  |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 / 
두출과밀(痘出過密) | 
|  |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 
|  | 영양각산(羚羊角散)[2] / 
검경정동(瞼硬睛疼) | 
|  | 영양각산(羚羊角散)[4] / 
빙예(氷翳) | 
|  | 오리대황탕(五利大黃湯) / 
옹저(癰疽) | 
|  |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 
|  | 옥용산(玉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 
|  | 옥지산(玉池散) / 
골조풍(骨槽風)
, 풍치(風齒) | 
|  |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 
|  |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 
적백대하(赤白帶下)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  | 온폐탕(溫肺湯)[1] / 
비색(鼻塞) | 
|  | 용담음자(龍膽飮子) / 
감안(疳眼) | 
|  | 용담환(龍膽丸) / 
뇌감(腦疳) | 
|  | 우방자탕(牛蒡子湯) / 
인후종통(咽喉腫痛)
, 아관긴급(牙關緊急) | 
|  | 이황환(二黃丸) / 
상식(傷食) | 
|  | 익기양신탕(益氣養神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  |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 / 
노인안혼(老人眼昏) | 
|  | 익원고진탕(益元固眞湯) / 
노림(勞淋) | 
|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1] / 
붕루(崩漏) | 
|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2] / 
내상(內傷) | 
|  |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하혈(下血)
, 장벽(腸澼) | 
|  | 인삼구폐산(人參救肺散) / 
토혈(吐血) | 
|  | 인삼익기탕(人蔘益氣湯) / 
마목(麻木) | 
|  |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3] / 
옹저번갈(癰疽煩渴) | 
|  | 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 
상한황달(傷寒黃疸) | 
|  | 입효산(立效散)[5] / 
치통(齒痛) | 
|  | 자설(紫雪) / 
적열(積熱) | 
|  |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 
|  |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 
유정(遺精) | 
|  |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 
|  | 정력산(葶藶散) / 
천급(喘急)
, 폐옹(肺癰) | 
|  |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 
|  | 제습강활탕(除濕羌活湯) / 
풍습(風濕) | 
|  | 제습건비탕(除濕健脾湯) / 
구설(久泄) | 
|  |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한창(寒脹)
, 중만(中滿) | 
|  | 지부자탕(地膚子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 지부자탕(地膚子湯)[2] / 
자림(子淋) | 
|  |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항문양통(肛門痒痛)
, 치루(痔瘻) | 
|  | 진교승마탕(秦艽升麻湯) / 
중풍(中風)
, 구안와사(口眼喎斜) | 
|  |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1] / 
통풍(痛風) | 
|  |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 
한습(寒濕) | 
|  | 창출부전탕(蒼朮復煎湯) / 
슬통(膝痛)
, 척감(脊疳) | 
|  | 천궁산(川芎散)[2] / 
현훈(眩暈)
, 두목불청(頭目不淸) | 
|  | 천근환(茜根丸) / 
고주리(蠱疰痢) | 
|  |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내저(內疽)
, 정창(釘瘡)
, 발배(發背) | 
|  |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 청단죽엽탕(淸膻竹葉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중갈(中暍) | 
|  |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 
|  |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 
두목불청(頭目不淸) | 
|  |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비위구허(脾胃俱虛) | 
|  | 청양탕(淸陽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 청열해독산(淸熱解毒散) / 
천행온역(天行瘟疫) | 
|  |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 청위산(淸胃散) / 
위열치통(胃熱齒痛) | 
|  | 청위탕(淸胃湯) / 
치근동요(齒根動搖)
, 아상종통(牙床腫痛) | 
|  | 청조탕(淸燥湯) / 
탄탄(癱瘓)
, 양각위연(兩脚痿軟) | 
|  |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  | 청혼탕(淸魂湯) / 
음랭(陰冷)
, 음위(陰痿) | 
|  |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 
|  | 충화순기탕(冲和順氣湯) / 
면흑(面黑) | 
|  | 충화양위탕(沖和養胃湯) / 
내장(內障) | 
|  | 치도생독일방(治挑生毒一方)[3] / 
도생독(挑生毒) | 
|  | 치어목창일방(治魚目瘡一方) / 
어목(魚目) | 
|  |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1] / 
임신상한(妊娠傷寒)
, 반진(斑疹) | 
|  |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2] / 
임신상한(妊娠傷寒)
, 온독발반(溫毒發斑) | 
|  | 치천행반창일방(治天行斑瘡一方)[1] / 
천행반창(天行斑瘡) | 
|  | 칠미감길탕(七味甘桔湯) / 
두창인후종통(痘瘡咽喉腫痛) |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2] / 
부골저(附骨疽) | 
|  | 통규탕(通竅湯) / 
비색(鼻塞) | 
|  |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 
배통철심(背痛徹心)
, 견통(肩痛) | 
|  | 통유탕(通幽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 
|  | 퇴황산(退黃散) / 
황달(黃疸) | 
|  | 투기탕(透肌湯) / 
두출불쾌(痘出不快) | 
|  |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 
|  |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 
|  | 향갈탕(香葛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 
|  | 현삼산(玄蔘散) / 
현옹(懸癰) | 
|  | 현삼승마탕(玄蔘升麻湯) / 
반진(斑疹) | 
|  | 형개탕(荊芥湯)[1] / 
위열치통(胃熱齒痛)
, 풍치(風齒) | 
|  |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구창(口瘡)
, 중설(重舌) | 
|  | 화독탕(化毒湯) / 
두출불쾌(痘出不快) | 
|  | 화울탕(火鬱湯) / 
오심번열(五心煩熱) | 
|  | 화혈윤장탕(和血潤腸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 화혈익기탕(和血益氣湯) / 
소갈(消渴) | 
|  | 황기익기탕(黃芪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 황기인삼탕(黃芪人蔘湯) / 
중갈(中暍) | 
|  |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