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서해, 남해 | 채취기간 | null |
키 | 50cm | 취급요령 | 탕으로 하여 쓴다. |
생지 | 바다 | 성미 | 평안하며, 달다. |
분류 | 청어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산란 | 1회사용량 | 적당량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장복해도 무방하다. |
특징 및 사용
큰 것은 50cm 정도가 되며, 몸은 납작하여 밴댕이와 비슷하나 몸집이 크다. 몸의 등 쪽은 암청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다. 옆줄 비늘 수는 50~56개이다. 유난히 가시가 많은데 특히 꼬리 부위에 많이 있다. 예로부터 새가 물에 빠져 조개가 된다는 말이 있었는데, 준치도 새가 변하여 되었다는 전설이 있고, 준치의 머리뼈를 모아 맞추면 새 모양이 된다고 한다. 준치를 먹은 다음에 머리뼈를 모아 새의 형상을 만들고 앵두를 주둥이에 물려 처마 끝에 매다는 풍슴이 전해 내려오기도 한다. 많이 먹으면 중풍에 걸릴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익생양술 효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