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유

 익생양술에서 "오수유"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오수유(吳茱萸)/오수유"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경주 근방 채취기간 열매가 성숙되기 전
5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바닷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고 쓰다.
분류 낙엽 활엽 소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나무껍질ㆍ열매 3∼5g
약효 나무껍질ㆍ열매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수유나무
마주나고 7~1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는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7~8cm의 달걀꼴, 타원 모양의 달걀꼴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어릴 때에는 앞면에 털이 있지만 주맥 이외의 것은 점차 없어진다. 뒷면에는 털이 빽빽하게 난다.
5∼6월에 녹백색 또는 녹황색의 작은 꽃이 산방 꽃차례를 이루며 가지 끝에 달려 핀다. 암수딴그루의 단성화이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과 수술은 각각 4~5개씩이다.
열매
9∼10월에 붉은빛이 도는 길이 5~6mm의 둥근 삭과가 달려 익는데 거칠고 기름샘이 있다. 거의 둥글게 생긴 씨는 길이 4mm 정도이고 하늘색이 돌며 광택이 있다.
특징 및 사용
당수유ㆍ약수유ㆍ오유(吳萸)라고도 한다. 어린가지에 털이 나 있으며 가지는 十자 모양으로 퍼진다. 쉬나무와 비슷하지만 작은 잎이 많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열매 끝이 둥근 점이 다르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9월경에 녹갈색의 덜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오수(吳茱) 또는 오수유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익은 열매는 향기가 있고 맵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오수유(吳茱萸) / 오수유
라틴명 Evodiae Fructus
약재의 효능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강역(降逆)  (기가 치솟은 것을 내리는 효능임)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조양(助陽)  (양기(陽氣)를 도와주는 효능임)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영인비건(令人肥健)  (사람을 살찌우고 건강하게 만든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소독(小毒) , 신고(辛苦) , 열(熱)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독성 Do notexceed recommended dose 1). Large doses have a stimulating effe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lead to visual disturbances and hallucinations 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2] /  붕루(崩漏)경단부행(經斷復行)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2] /  이질(痢疾)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중만(中滿)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복창(腹脹)
교태환(交泰丸) /  조잡(嘈雜)조잡(嘈雜)
구미수련환(九味茱連丸) /  탄산(呑酸)
구통원(九痛元) /  구종심통(九種心痛)냉심통(冷心痛)
귤피전원(橘皮煎元) /  구리(久痢)비신구허(脾腎俱虛)
귤핵산(橘核散) /  퇴산(㿉疝)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1] /  제복냉통(臍腹冷痛)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2] /  고냉(痼冷)제복통(臍腹痛)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모과탕(木瓜湯) /  곽란전근(霍亂轉筋)
목유산(木萸散) /  습곽란(濕霍亂)전근(轉筋)
목유탕(木萸湯) /  각기(脚氣)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무기환(戊己丸) /  습리(濕痢)
무이산(蕪荑散)[2] /  개선(疥癬)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복양단(復陽丹) /  상한음독(傷寒陰毒)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냉심통(冷心痛)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2] /  중한(中寒)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사미수련환(四味茱連丸) /  탄산(呑酸)
사신환(四神丸)[2] /  신설(腎泄)
사신환(四神丸)[3] /  한산(寒疝)
사향환(麝香丸) /  부인음랭(婦人陰冷)무자(無子)백대(白帶)
산취탕(散聚湯) /  육취(六聚)징가(癥瘕)
삼미삼유탕(三味蔘萸湯)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삼수환(三茱丸) /  기산(氣疝)
삼유환(蔘萸丸) /  탄산(呑酸)자리(自利)
삼장군원(三將軍元) /  각기위증(脚氣危證)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세신고(細辛膏) /  비구(鼻鼽)
소수독음자(消水毒飮子) /  수독(水毒)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7] /  초생외신축입(初生外腎縮入)
수련환(茱連丸)[1] /  적백리(赤白痢)
수련환(茱連丸)[2] /  토산(吐酸)탄산(呑酸)
수련환(茱連丸)[3] /  토산(吐酸)탄산(呑酸)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한산(寒疝)퇴산(㿉疝)
수유산(茱萸散) /  구창(口瘡)
여의단(如意丹) /  귀수(鬼祟)전광(癲狂)온역(瘟疫)노채(勞瘵)
연라환(連蘿丸) /  비괴(痞塊)현훈(眩暈)조잡(嘈雜)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오미자산(五味子散) /  신설(腎泄)
오수유(吳茱萸)[2] /  복통(腹痛)
오수유(吳茱萸)[3] /  탄산(呑酸)
오수유산(吳茱萸散) /  개선(疥癬)
오수유탕(吳茱萸湯)[1] /  비설(脾泄)
오수유탕(吳茱萸湯)[2] /  음랭(陰冷)
오수유탕(吳茱萸湯)[3] /  진창(䐜脹)
온경탕(溫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온백원(溫白元) /  적취(積聚)황달(黃疸)징가(癥瘕)
유황탕(硫黃湯) /  산후음탈(産後陰脫)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인진오수유탕(茵蔯吳茱萸湯) /  음황(陰黃)
일념금원(一捻金元) /  부인음정(婦人陰挺)
일상산(一上散) /  개선(疥癬)
입효산(立效散)[4] /  적백리(赤白痢)농혈리(膿血痢)
저장환(猪臟丸) /  신설(腎泄)
전초산(剪草散) /  개선(疥癬)
전호산(前胡散) /  육가(肉苛)
정양산(正陽散)[1] /  상한음증(傷寒陰證)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조경산(調經散) /  월경부조(月經不調)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좌금환(佐金丸) /  하초열(下焦熱)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한창(寒脹)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간적(肝積)오적(五積)
창련탕(蒼連湯) /  탄산(呑酸)
창련환(蒼連丸) /  탄산(呑酸)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충한산(衝寒散) /  소아설사(小兒泄瀉)고냉(痼冷)
치유환(梔萸丸) /  기실심통(氣實心痛)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  진창(䐜脹)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곽란(霍亂)비위허한(脾胃虛寒)
탈명단(奪命丹)[1] /  분돈산(奔豚疝)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탄산(呑酸)
포옹환(抱甕丸) /  귀태(鬼胎)혈고(血蠱)
향련환(香連丸) /  이질(痢疾)복통(腹痛)
호로파원(胡蘆巴元) /  분돈산(奔豚疝)
화류고(化瘤膏) /  영류(瘿瘤)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황련청화환(黃連淸化丸) /  탄산(呑酸)
황련화담환(黃連化痰丸) /  열수(熱嗽)
회금환(回金丸) /  하초열(下焦熱)
회향연실환(茴香楝實丸) /  가취(瘕聚)칠산(七疝)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