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sini Gelatinum |
약재의 효능 |
보폐(補肺)
(폐(肺)를 보하는 효능임)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양간(養肝)
(간(肝)의 음액(陰液)을 보태어주는 효능임)
|
|
자신(滋腎)
(신(腎)을 기르는 효능임)
|
|
화혈(和血)
(혈(血)의 운행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이대소장(利大小腸)
(대장과 소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
|
보혈자음(補血滋陰)
(보혈(補血)시키고 음기(陰氣)를 보태는 치료 방법임.)
|
|
안태지혈(安胎止血)
|
|
생신거어(生新去瘀)
(어혈(瘀血)을 몰아내고 새로운 피를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강장성지혈(强壯性止血)
|
|
익기(益氣)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영인유자(令人有子)
(부인을 임신시키게 한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폐(肺)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
적백리(赤白痢)
, 혈리(血痢)
|
|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어성중탁(語聲重濁)
, 실음(失音)
|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독(臟毒)
, 치(痔)
, 장풍(腸風)
|
|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무자(無子)
, 태동불안(胎動不安)
|
|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
|
겁로산(劫勞散) /
노수(勞嗽)
, 폐위(肺痿)
|
|
계명환(鷄鳴丸)[1] /
천촉(喘促)
, 해수(咳嗽)
|
|
계명환(鷄鳴丸)[2] /
천수(喘嗽)
|
|
계소산(鷄蘇散) /
육혈(衄血)
|
|
관동화산(款冬花散) /
담연옹성(痰涎壅盛)
, 풍수(風嗽)
|
|
괴화산(槐花散)[2] /
장독(臟毒)
|
|
교밀탕(膠蜜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
반산(半産)
, 태동불안(胎動不安)
|
|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태루(胎漏)
|
|
교애탕(膠艾湯) /
태루(胎漏)
|
|
구명연년환(救命延年丸) /
이질(痢疾)
|
|
구선산(九仙散) /
구수(久嗽)
|
|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소관반산(素慣半産)
, 태루(胎漏)
|
|
궁귀환(芎歸丸)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궁서원(芎犀元) /
편두통(偏頭痛)
|
|
기효사물탕(奇效四物湯) /
혈붕(血崩)
|
|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
, 인사불성(人事不省)
|
|
단삼음자(團蔘飮子) /
노채(勞瘵)
, 기수(氣嗽)
, 폐위(肺痿)
|
|
대산우원(大山芋元) /
노손(勞損)
, 비위허약(脾胃虛弱)
|
|
대아교원(大阿膠元) /
타혈(唾血)
, 노수(勞嗽)
, 토혈(吐血)
|
|
대영수탕(大寧嗽湯) /
노수(勞嗽)
|
|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혈리(血痢)
, 적리(赤痢)
|
|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
무자(無子)
, 월수부조(月水不調)
|
|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
혈붕(血崩)
|
|
보폐산(補肺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
|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
, 노수(勞嗽)
, 허로(虛勞)
|
|
상기생산(桑寄生散) /
태루(胎漏)
|
|
소교애탕(小膠艾湯) /
하혈(下血)
, 태동불안(胎動不安)
|
|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
|
소주차원(小駐車元) /
적백리(赤白痢)
|
|
신효환(神效丸) /
휴식리(休息痢)
|
|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
|
아교(阿膠)[1] /
폐손(肺損)
|
|
아교(阿膠)[2] /
난산(難産)
|
|
아교(阿膠)[3] /
경풍(驚風)
|
|
안영탕(安榮湯) /
반산(半産)
|
|
억심청폐환(抑心淸肺丸) /
화수(火嗽)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영수고(寧嗽膏) /
노수(勞嗽)
|
|
영폐탕(寧肺湯)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온경탕(溫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온폐탕(溫肺湯)[2] /
한수(寒嗽)
|
|
용뇌계소환(龍腦鷄蘇丸) /
수혈(嗽血)
, 객혈(喀血)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윤장환(潤腸丸)[1]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1] /
노수(勞嗽)
|
|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혈수(血嗽)
|
|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
|
인삼윤폐산(人蔘潤肺散) /
풍한천(風寒喘)
|
|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 /
풍한천(風寒喘)
|
|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
폐위(肺痿)
, 노수(勞嗽)
|
|
일복산(一服散) /
천행해수(天行咳嗽)
|
|
자감초탕(炙甘草湯) /
상한맥결대(傷寒脈結代)
|
|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
|
자완용탕(紫菀茸湯) /
천급(喘急)
, 해수(咳嗽)
|
|
저령탕(猪苓湯)[2]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
|
전홍원(剪紅元)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정천탕(定喘湯)[1] /
폐허구천(肺虛久喘)
|
|
정향교애탕(丁香膠艾湯) /
백대(白帶)
, 붕루(崩漏)
|
|
제위상단(濟危上丹) /
산후혈붕(産後血崩)
|
|
조경산(調經散)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
|
지모복령탕(知母茯苓湯) /
폐위(肺痿)
|
|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
반산(半産)
|
|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천문동탕(天門冬湯) /
육혈(衄血)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
|
청경사물탕(淸經四物湯) /
월경통(月經痛)
, 월경건기(月經愆期)
|
|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
|
청장탕(淸臟湯) /
변혈(便血)
|
|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
|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
|
축어탕(逐瘀湯) /
치(痔)
|
|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합개환(蛤蚧丸) /
구수실음(久嗽失音)
|
|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
|
|
활혈윤조환(活血潤燥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황련계자탕(黃連鷄子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황련아교원(黃連阿膠元) /
적백리(赤白痢)
|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1] /
농혈리(膿血痢)
|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2]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황토탕(黃土湯) /
선대변후하혈(先大便後下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