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불류행(王不留行) / 말뱅이나물

동의보감에서 "왕불류행(王不留行) / 말뱅이나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왕불류행(王不留行) / 말뱅이나물 열매
라틴명 |
Vaccariae Semen |
약재의 효능 |
활혈통경(活血通經)
(이혈법(理血法)의 하나임.)
|
|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하유소종(下乳消腫)
(산모의 젖이 잘 나오게 하여 젖몽우리가 진 것을 삭히는 효능임)
|
|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내로(耐老)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작용부위 |
간(肝)
, 위(胃)
|
성미 |
고(苦)
, 평(平)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임신부는 신중하게 쓸 것. |
약재사용처방 |
석위산(石韋散) /
임(淋)
|
|
용천산(涌泉散) /
유즙불행(乳汁不行)
|
|
침향산(沈香散) /
기림(氣淋)
|
|
침향음(沈香飮)[1] /
기림(氣淋)
|
|
통초탕(通草湯)[1] /
오림(五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