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무나무

 익생양술에서만 "시무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연중
20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양지, 하천 유역 성미 평온하며, 달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10~12g
약효 뿌리ㆍ나무껍질ㆍ잔가지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3~6cm, 나비 1~1.5cm의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은 둥근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측맥은 8~15쌍이다. 잎자루는 길이 1~3mm이고 잔털이 있다. 턱잎은 긴 타원형이고 일찍 떨어진다.
5월에 잎이 나오고 나서 연한 황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1~4개씩 달려 핀다. 암수한그루이거나 잡성화이다. 꽃자루는 길이 1~1.5mm이고 털이 없다. 길이 1~2mm인 꽃덮이는 4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과 1개의 씨방이 있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10월에 편평한 반월형의 시과가 찌그러진 달걀 모양을 하고 달려 익는데 길이는 5~6mm이며 한쪽에만 날개가 있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특징 및 사용
스무나무ㆍ지유(地楡)ㆍ자유(紫楡)라고도 하는데 가시를 가진 느릅나무라는 뜻에서 자유(刺楡)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바퀴의 축으로 쓰여 축유(軸楡)라 했다는 기록도 있다. 또한 20리마다 심어 이정표로 삼았다 하여 스무나무라 부르던 이름이 시무나무로 변했다는 속설이 있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가지에 큰 침지(針枝 : 가시줄기)가 있고 어린가지에 길이 1.5~10cm의 긴 자갈색 가시와 함께 잔털이 있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며 나이가 들면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므로 억센 느낌을 주며 선명한 톱니는 거의 톱날처럼 보인다. 열매의 한쪽에만 날개가 달려 있는 모양이 특이한데 같은 과에 속하는 느티나무는 열매에 날개가 없는 반면, 시무나무는 한쪽에 날개가 있고, 느릅나무는 양쪽에 날개가 있다. 종의 분포 특성상 느티나무는 열매가 구르는 전략을, 느릅나무는 바람에 흩어지는 전략을, 시무나무는 그 중간을 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관상용ㆍ울타리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생울타리로 많이 심는다. 재질이 굳고 치밀하여 기구재ㆍ선박재ㆍ토목재 등으로 이용되는데 박달나무를 초유(楚楡)라 하여 으뜸으로 삼고 다음을 시무나무로 삼았다. 이른 봄에 새로 나오는 어린잎을 따서 밀가루ㆍ쌀가루ㆍ콩가루 등을 묻혀 떡을 만들어 먹었으며 느릅나무 잎과 함께 흉년을 넘기는 구황 식량 구실을 하였다. 또한 잎은 가축의 사료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외상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