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완(紫莞) / 개미취

 익생양술에서 "개미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자완(紫莞) / 개미취"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북부지방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1.5~2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야산 습지, 습윤한 초지 성미 따뜻하며, 쓰고 약간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4~6g
약효 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갯쑥부쟁이ㆍ참취
뿌리잎은 뭉쳐나며 긴 잎자루가 있고 크게 자란 것은 길이 65mm 정도로서 주걱 모양을 한 긴 타원형인데 꽃이 필 때는 말라버린다. 줄기잎은 좁고 어긋나며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날카롭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7~10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는데 지름 2~2.5cm의 두상화가 가지 끝과 줄기 끝에 산방 꽃차례로 달린다. 꽃의 한가운데는 황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5~5cm이며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난다. 총꽃턱잎은 길이 7mm의 반구형이고 꽃턱잎은 3줄로 배열하며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열매
10월경에 길이 3mm 정도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갓털은 흰색이며 뻣뻣한 털 모양을 하고 있다.
특징 및 사용
반혼초(返魂草)ㆍ자완ㆍ소판ㆍ협판채 ㆍ산백채ㆍ자와ㆍ탱알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인가에서 재배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잔뿌리가 많다. 전체가 거칠거칠하며 줄기는 곧게 서는데 야생은 키가 1.5m쯤이고 재배하는 것은 2m쯤이다.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짧은 털이 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자완(紫莞) / 개미취
라틴명 Asteris Radix
약재의 효능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이소장(利小腸)  (소장(小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윤기부(潤肌膚)  (기육(肌肉)과 피부(皮膚)를 적셔주는 효능임)
첨골수(添骨髓)  (골수(骨髓)를 더하는 효능임)
해고독(解蠱毒)  (고독(蠱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청폐설화(淸肺泄火)  (열로 인해 손상된 폐기를 식혀주고 화기를 빼내는 효능임)
작용부위 폐(肺)
성미 신고(辛苦)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음허폐열해역천수자(陰虛肺熱咳逆喘嗽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미백화고(加味百花膏) /  구수(久嗽)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금화선방(噙化仙方) /  해역상기(咳逆上氣)폐위(肺痿)
단삼음자(團蔘飮子) /  기수(氣嗽)노채(勞瘵)폐위(肺痿)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고독(蠱毒)황달(黃疸)벽괴(癖塊)시주(尸注)학질(瘧疾)
보폐탕(補肺湯) /  노수(勞嗽)
보화탕(保和湯) /  노수(勞嗽)허로(虛勞)폐위(肺痿)
사간탕(射干湯)[1] /  후아실성(喉{아}失聲)풍한졸아(風寒卒牙)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여의단(如意丹) /  온역(瘟疫)노채(勞瘵)귀수(鬼祟)전광(癲狂)
영수고(寧嗽膏) /  노수(勞嗽)
옥화산(玉華散) /  화천(火喘)
온백원(溫白元) /  징가(癥瘕)적취(積聚)황달(黃疸)
윤폐고(潤肺膏)[2] /  담천(痰喘)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  담수(痰嗽)음허천급(陰虛喘急)
인삼관화고(人蔘款花膏) /  한수(寒嗽)
인삼자완탕(人蔘紫菀湯) /  구천(久喘)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  담천(痰喘)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자완탕(紫菀湯)[2] /  자수(子嗽)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오적(五積)폐적(肺積)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음허화동(陰虛火動)후옹(喉癰)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효천(哮喘)
행삼산(杏蔘散)[1] /  외상천급(外傷喘急)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현상고(玄霜膏) /  객혈(喀血)토혈(吐血)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노손(勞損)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