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에서 "모서(牡鼠)/시궁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모서분(牡鼠糞)/시궁쥐 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모서육(牡鼠肉)/시궁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서(鼠)/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서내신(鼠內腎)/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서담(鼠膽)/쥐의 쓸개"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서분(鼠糞)/쥐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서시(鼠屎)/쥐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서육(鼠肉)/시궁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웅서(雄鼠)/숫쥐"로 처방에 사용됨
모서(牡鼠) / 시궁쥐
라틴명 Ratti Mas Caro
약재의 효능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심(心)
성미 감(甘)
주의사항 숫쥐
약재사용처방 모서(牡鼠) /  근골절상(筋骨折傷)
모서분(牡鼠糞) / 시궁쥐 똥
라틴명 Ratti Excrementum
약재의 효능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감(甘) , 미한(微寒)
주의사항 숫쥐의 똥이 좋음.
약재사용처방 모서분(牡鼠糞) /  노복(勞復)
모서시(牡鼠屎)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모서육(牡鼠肉) / 시궁쥐
라틴명 Ratti Mas Caro
약재의 효능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심(心)
성미 감(甘)
약재사용처방 모서육(牡鼠肉) /  정해감(丁奚疳)포로감(哺露疳)
서(鼠) / 쥐
라틴명 Mus
약재의 효능 벽악기(辟惡氣)  (악기(惡氣)를 피하게 하는 효능임.)
속근육(續筋肉)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성미 감(甘) , 미온(微溫)
약재사용처방 고치산(固齒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서(鼠) /  타박상(打撲傷)
서뇌간(鼠腦肝) /  금창(金瘡)
활서(活鼠) /  두항강급(頭項强急)
서내신(鼠內腎) / 쥐
라틴명 Ratti Testis
약재사용처방 토뇌환(兎腦丸) /  난산(難産)
서담(鼠膽) / 쥐의 쓸개
라틴명 Ratti Fel
약재의 효능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담(膽) , 심(心)
성미 고(苦) , 한(寒)
약재사용처방 서담(鼠膽) /  구롱(久聾)
서분(鼠糞) / 쥐똥
라틴명 Ratti Excrementum
약재의 효능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감(甘) , 미한(微寒)
주의사항 숫쥐의 것이 좋음.
약재사용처방 가서분탕(豭鼠糞湯) /  음역(陰易)
도노산(桃奴散)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고(血蠱)
도노환(桃奴丸) /  월경불통(月經不通)혈창(血脹)
웅서분(雄鼠糞) /  치불생(齒不生)
서시(鼠屎) / 쥐똥
라틴명 Ratti Excrementum
약재의 효능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감(甘) , 미한(微寒)
주의사항 숫쥐의 똥이 좋음.
약재사용처방 삼물산(三物散) /  연절(軟癤)
서시(鼠屎) /  낙상(落傷)
서시시탕(鼠屎豉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해마간중독일방(解馬肝中毒一方) /  수육독(獸肉毒)
서육(鼠肉) / 시궁쥐
라틴명 Mus Caro
약재의 효능 속근골(續筋骨)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장기육(壯肌肉)  (기육(肌肉)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심(心)
성미 감(甘) , 평(平)
주의사항 국을 끓여 먹음.
약재사용처방 서육(鼠肉) /  골증노열(骨蒸勞熱)
웅서(雄鼠) / 숫쥐
라틴명 Mus Mas
약재의 효능 벽악기(辟惡氣)  (악기(惡氣)를 피하게 하는 효능임.)
속근육(續筋肉)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성미 감(甘) , 미온(微溫)
약재사용처방 치두불기창우방(治痘不起脹又方)[3]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