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urantii Immaturi Pericarpium |
약재의 효능 |
산비(散痞)
(가슴과 배 사이가 답답한 증상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
|
삭견(削堅)
(굳은 것을 푸는 효능임)
|
|
하식(下食)
(소식(消食)과 유사한 용어로 먹은 것을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
|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
|
소간담(疏肝膽)
(간기(肝氣)와 담기(膽氣)가 울결된 것을 흩어지게 하는 효능임)
|
|
사폐기(瀉肺氣)
(폐기(肺氣)를 배출시키는 효능임)
|
|
소체(消滯)
(음식물이 체한 것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담(膽)
, 위(胃)
|
성미 |
고신(苦辛)
, 미온(微溫)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기허무체(氣虛無滯), 다한자(多汗者)는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2] /
해수(咳嗽)
, 천촉(喘促)
, 화천(火喘)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3] /
수천(水喘)
|
|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
담천(痰喘)
|
|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
|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
, 위심통(胃心痛)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기담(氣痰)
, 매핵기(梅核氣)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
|
가미선풍산(加味宣風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 두창복창(痘瘡腹脹)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1] /
타혈(唾血)
, 수혈(嗽血)
|
|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
|
가미양장탕(加味養臟湯) /
휴식리(休息痢)
|
|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
|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
|
갈환자(褐丸子) /
감창(疳脹)
|
|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
|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
담음(痰飮)
, 기체(氣滯)
|
|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
|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
|
거담환(祛痰丸) /
담천(痰喘)
|
|
견통원(蠲痛元) /
퇴산(㿉疝)
|
|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
|
계비원(啓脾元) /
불능식(不能食)
, 비위불화(脾胃不和)
|
|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
|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
|
과루산(瓜蔞散) /
유옹(乳癰)
|
|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
|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중만(中滿)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복창(腹脹)
|
|
구학탕(驅瘧湯) /
해학(痎瘧)
, 구학(久瘧)
|
|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
노학(勞瘧)
|
|
궁하탕(芎夏湯) /
담음(痰飮)
|
|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혈가(血瘕)
, 월경불통(月經不通)
|
|
균기산(均氣散) /
중풍(中風)
, 기허불수(氣虛不遂)
|
|
귤엽산(橘葉散) /
유옹(乳癰)
, 유방결핵(乳房結核)
|
|
기침원(氣鍼元) /
기창(氣脹)
|
|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
, 위완옹(胃脘癰)
, 두옹(肚癰)
|
|
내소환(內消丸) /
나력(瘰癧)
|
|
노숙탕(露宿湯) /
풍리(風痢)
|
|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
|
노학환(老瘧丸) /
해학(痎瘧)
|
|
단자청피탕(單煮靑皮湯) /
유방결핵(乳房結核)
|
|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
장풍(腸風)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기체(氣滯)
, 혈울(血鬱)
|
|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
|
대온중환(大溫中丸) /
곡달(穀疸)
, 황종(黃腫)
, 황반(黃胖)
|
|
대이향산(大異香散) /
기창(氣脹)
, 곡창(穀脹)
|
|
대칠기탕(大七氣湯) /
육취(六聚)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오적(五積)
, 심복창만(心腹脹滿)
|
|
도계기보환(桃溪氣寶丸) /
적취(積聚)
, 식적(食積)
, 대변비결(大便秘結)
, 징가(癥瘕)
|
|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기역(氣逆)
, 심흉비통(心胸痞痛)
|
|
마적원(磨積元)[2] /
다적(茶積)
|
|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목통산(木通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적취(積聚)
, 탄산(呑酸)
|
|
목향반하환(木香半夏丸) /
체이(滯頤)
|
|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
창만(脹滿)
, 담수(痰嗽)
, 천급(喘急)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1] /
기통(氣痛)
, 기체흉비(氣滯胸痞)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식적복통(食積腹痛)
, 기체복통(氣滯腹痛)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4] /
기창(氣脹)
, 곡창(穀脹)
|
|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
|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
|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2] /
습열창만(濕熱脹滿)
|
|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기통(氣痛)
, 종창(腫脹)
|
|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
|
목향탕(木香湯) /
냉림(冷淋)
|
|
목향화중환(木香和中丸) /
담적(痰積)
|
|
묘응단(妙應丹)[1] /
식적(食積)
, 징가(癥瘕)
|
|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
|
백사산(白蛇散)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백출후박탕(白朮厚朴湯) /
손설(飱泄)
, 곽란(霍亂)
|
|
별갑환(鱉甲丸) /
해학(痎瘧)
, 학모(瘧母)
|
|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
혈붕(血崩)
|
|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
|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
|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
|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비방청비환(秘方淸脾丸) /
삼일학(三日瘧)
, 십일학(十日瘧)
|
|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징벽(癥癖)
, 적취(積聚)
|
|
비적원(脾積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
|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
|
비전순기산(秘傳順氣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탄탄(癱瘓)
|
|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
|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혈가(血瘕)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사미회향산(四味茴香散) /
퇴산(㿉疝)
|
|
사성환(四聖丸) /
소아복창(小兒腹脹)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담연옹성(痰涎壅盛)
, 반위(反胃)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
|
삼령호박탕(蔘苓琥珀湯) /
소변임력(小便淋瀝)
, 경중양통(莖中痒痛)
|
|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
식적(食積)
|
|
삼릉전(三稜煎)[2] /
기괴(氣塊)
, 혈가(血瘕)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삼수환(三茱丸) /
기산(氣疝)
|
|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
, 방광병(膀胱病)
|
|
삼출조중탕(蔘朮調中湯) /
열수(熱嗽)
|
|
삼출탕(蔘朮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상백피산(桑白皮散) /
각기(脚氣)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위단(生胃丹) /
불사식(不思食)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
|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
|
소서각환(小犀角丸) /
나력(瘰癧)
|
|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
|
소온중환(小溫中丸) /
곡달(穀疸)
|
|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기혈응체(氣血凝滯)
, 식적(食積)
, 담음(痰飮)
|
|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
|
소청비탕(小淸脾湯) /
위학(胃瘧)
|
|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
|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퇴산(㿉疝)
, 한산(寒疝)
|
|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
|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
|
수자목향원(水煮木香元) /
백리(白痢)
|
|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승마황련환(升麻黃連丸) /
구취(口臭)
|
|
승명탕(升明湯) /
혈일두통(血溢頭痛)
, 열울(熱鬱)
, 해역(咳逆)
|
|
승홍원(勝紅元) /
주적(酒積)
, 혈적(血積)
|
|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
흉비통(胸痞痛)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
발저(發疽)
|
|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
|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
|
신소산(神消散) /
산통(疝痛)
|
|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
, 온역(瘟疫)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십미창백산(十味蒼柏散) /
산통(疝痛)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
|
십장군환(十將軍丸) /
학모(瘧母)
, 구학(久瘧)
|
|
십전단(十全丹) /
정해감(丁奚疳)
, 무고감(無辜疳)
|
|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
|
아위환(阿魏丸)[1] /
육적(肉積)
, 식적(食積)
|
|
안위산(安胃散)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2] /
장벽(腸澼)
|
|
연라환(連蘿丸) /
비괴(痞塊)
, 현훈(眩暈)
, 조잡(嘈雜)
|
|
영출탕(苓朮湯)[1] /
손설(飱泄)
, 납매(納呆)
|
|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
|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
오격(五膈)
|
|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
|
오출환(烏朮丸) /
허로(虛勞)
|
|
온비단(溫脾丹) /
체이(滯頤)
|
|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
|
온중화담환(溫中化痰丸) /
한담(寒痰)
|
|
용담원(龍膽元) /
열감(熱疳)
|
|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
|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
담적(痰積)
|
|
음학환(陰瘧丸) /
해학(痎瘧)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이기환(利氣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
|
익황산(益黃散)[1]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
허인학질(虛人瘧疾)
|
|
인삼평폐산(人蔘平肺散) /
폐위(肺痿)
|
|
입효산(立效散)[2] /
혈가(血瘕)
|
|
자소음자(紫蘇飮子) /
한수(寒嗽)
|
|
절학칠보음(截瘧七寶飮) /
학질(瘧疾)
|
|
정기탕(正氣湯)[2] /
풍학(風瘧)
|
|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
|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
|
조강탕(調降湯) /
기천(氣喘)
|
|
조중순기환(調中順氣丸) /
담음협통(痰飮脇痛)
|
|
조해산(調解散) /
두창도함(痘瘡倒陷)
|
|
주거신우환(舟車神祐丸) /
수습중조(水濕中阻)
|
|
주거환(舟車丸) /
습열울체(濕熱鬱滯)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한창(寒脹)
, 중만(中滿)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폐적(肺積)
, 오적(五積)
|
|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1] /
중기(中氣)
|
|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2] /
고냉(痼冷)
, 심복냉통(心腹冷痛)
|
|
지유산(地楡散)[3] /
적리(赤痢)
, 혈리(血痢)
|
|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
|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
, 현벽(痃癖)
|
|
천태오약산(天臺烏藥散) /
퇴산(㿉疝)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담음(痰飮)
|
|
청비음(淸脾飮) /
식학(食瘧)
|
|
청비탕(淸脾湯) /
식학(食瘧)
|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중갈(中暍)
|
|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비위구허(脾胃俱虛)
|
|
청초창백탕(靑草蒼柏湯) /
부골저(附骨疽)
|
|
청총화담환(淸聰化痰丸) /
간화이롱(肝火耳聾)
|
|
청피(靑皮)[1] /
기체(氣滯)
|
|
청피(靑皮)[2] /
간기허(肝氣虛)
|
|
청피(靑皮)[3] /
취유(吹乳)
|
|
청피(靑皮)[4] /
협통(脇痛)
|
|
청피(靑皮)[5] /
주상(酒傷)
, 식상(食傷)
|
|
청해탕(淸咳湯) /
해혈(咳血)
|
|
초과음(草果飮) /
한학(寒瘧)
|
|
초과평위산(草果平胃散) /
비학(脾虐)
|
|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치경중양통일방(治莖中痒痛一方) /
경중통(莖中痛)
|
|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결핵(結核)
|
|
치중탕(治中湯)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
칠성환(七聖丸)[2] /
유식적체(乳食積滯)
|
|
침사환(鍼砂丸) /
곡달(穀疸)
, 주달(酒疸)
|
|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
진창(䐜脹)
|
|
침향산(沈香散) /
기림(氣淋)
|
|
침향음(沈香飮)[1] /
기림(氣淋)
|
|
탕산환(蕩疝丸) /
기산(氣疝)
|
|
통경환(通經丸)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혈가(血瘕)
|
|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
견통(肩痛)
, 배통철심(背痛徹心)
|
|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
|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성아(聲啞)
, 건수(乾嗽)
, 건해(乾咳)
|
|
투격탕(透膈湯) /
탄산(呑酸)
|
|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
담음(痰飮)
|
|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
|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
|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1] /
중기(中氣)
|
|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2]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탄산(呑酸)
, 조잡(嘈雜)
|
|
평기산(平氣散) /
습열천급(濕熱喘急)
|
|
평위분소음(平胃分消飮)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필징가원(蓽澄茄元) /
곡창(穀脹)
, 기창(氣脹)
|
|
해대환(海帶丸) /
기영(氣癭)
, 담핵(痰核)
|
|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3] /
기수(氣嗽)
|
|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
|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
|
향릉환(香稜丸) /
오적(五積)
, 육취(六聚)
|
|
형봉전원(荊蓬煎元) /
비괴(痞塊)
, 적취(積聚)
|
|
홍원자(紅圓子)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
|
화통탕(和痛湯) /
반산(半産)
|
|
회양탕(回陽湯) /
중한(中寒)
|
|
회향연실환(茴香楝實丸) /
칠산(七疝)
, 가취(瘕聚)
|
|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
한창(寒脹)
|
|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
|
|
희로환(晞露丸) /
징가(癥瘕)
, 장담(腸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