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8~9월(개화기) |
키 | 50~100cm |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기슭, 제방둑, 길가 | 성미 | 서늘하며, 맵고 쓰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실생ㆍ씨 | 1회사용량 | 8~15g |
약효 | 온포기ㆍ뿌리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땅비수리의 온포기 |
잎
어긋나며 작은 잎이 3장씩 나오는 3출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1~2cm 정도 되는 선 모양의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이며 앞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에 짧은 털이 많다.
꽃
8~9월에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 꽃차례로 달려 피는데 잎보다 짧다. 양성화이다.꽃받침은 밑까지 깊게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마다 1개의 맥과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길이 7mm 정도의 나비 모양이며 흰 바탕에 자줏빛 줄이 있고 가운데 큰 꽃잎의 중앙은 자줏빛이다. 10개의 수술 중 아래쪽 9개는 합쳐진다.
열매
10월에 어두운 갈색의 협과가 달려 익는데 꼬투리는 편평한 달걀꼴이며 털과 그물맥이 있다. 익은 열매 안에는 황록색 바탕에 적색 반점이 있는 씨가 1개씩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공쟁이대라고도 한다. 또한 비수리에는 야관문이라는 별칭이 있는데 이것을 복용한 남자와 하룻밤을 지낸 여자는 다음날부터 밤이면 대문의 빗장을 열어 놓고 기다리게 된다 하여 유래되었다고 한다. 줄기는 반관목 모양으로 곧게 자라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가지는 짧고 가늘며 잔털이 나 있다. 공업용ㆍ관상용ㆍ밀원ㆍ사방초ㆍ퇴비ㆍ식용ㆍ약용으로 두루 이용된다. 줄기로는 광주리를 만든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경을 보호하며 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