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지황(乾地黃) / 지황

 익생양술에서 "지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건지황(乾地黃) / 지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20~3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말리거나 쪄서 쓴다.
생지 밭에서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어린뿌리) 1회사용량 뿌리 10~15g
약효 뿌리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동속약초 백지황
뿌리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형인데 끝이 둔하고 밑이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앞면은 오목오목 들어가 주름이 져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6~7월에 홍자색 꽃이 꽃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줄기에는 잎처럼 생긴 꽃턱잎이 달리며 전체적으로 끈적끈적한 털이 빽빽하게 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샘털이 있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고 샘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져 퍼지면서 입술 모양을 이룬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10월에 타원형의 삭과를 맺는데 익으면 껍질이 벌어진다.
특징 및 사용
하(芐)ㆍ기(芑)ㆍ지수(地髓)라고도 한다. 육질의 굵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적갈색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샘털이 있다. 지황의 생뿌리를 물에 담가서 물에 뜨는 것은 천황(天黃), 반쯤 뜨고 반쯤 가라앉는 것은 인황(人黃), 완전히 가라앉는 것은 지황(地黃)이라 하였다. 이 중에서 물에 가라앉는 것이 좋고, 반쯤 가라앉는 것이 다음이며, 물에 뜨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였다. 이처럼 가라앉는 것이 귀한 약이므로 밑으로 가라앉을 하(下)라고 부르다가 하(芐)로 변했다고 한다. 생뿌리를 생지황(生地黃), 말린 뿌리를 건지황(乾地黃), 아홉 번 쪄서 아홉 번 말린 것(九蒸九曝 : 구증구포)을 숙지황(熟地黃)이라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쪄서 말려 쓰고, 술을 담글 때는 생으로 쓴다. 복용 중에 녹두나물ㆍ무ㆍ연근ㆍ용담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구리나 철로 된 도구를 쓰지 않는다.
건지황(乾地黃) / 건지황
라틴명 Rehmanniae Radix Siccus
약재의 효능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퇴양(退陽)  (양기가 지나치게 항성한 것을 제어하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익기력(益氣力)  (기력(氣力)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이이목(利耳目)  (귀와 눈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전골수(塡骨髓)  (골수(骨髓)를 보충하는 효능임)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파악혈(破惡血)  (악혈(惡血)을 없애는 효능임.)
조심담기(助心膽氣)  (심(心)과 담(膽)의 기를 도와주는 효능임)
이대소장(利大小腸)  (대장과 소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자음양혈(滋陰凉血)  (음기(陰氣)를 기르고 혈(血)을 식히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 심(心)
성미 감고(甘苦) , 양(凉)
주의사항 무, 마늘, 파 등을 먹으면 안됨.
독성 Contraindicated with diarrhea and indigestion 1). ;side effects are mild and include diarrhea, abdomonal pain, dizziness, lack of energy, and palpitations 2).
1)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2)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약재사용처방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탈영실정(脫營失精)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실음(失音)어성중탁(語聲重濁)
가미영신환(加味寧神丸) /  건망(健忘)정충(怔忡)황홀(恍惚)경계(驚悸)
건지황(乾地黃)[2] /  포루(胞漏)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  한산(寒疝)
당귀음(當歸飮) /  혈수(血嗽)
도적원(導赤元) /  소변불통(小便不通)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농이(膿耳)
만령산(萬靈散) /  소변임력(小便淋瀝)어혈복통(瘀血腹痛)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안화(眼花)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목단피탕(牡丹皮湯)[1]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복신산(茯神散) /  대경불어(大驚不語)
삼선탕(三仙湯) /  장역(瘴疫)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삼화탕(三和湯)[1] /  열결(熱結)혈폐(血閉)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  소갈(消渴)
세탑탕(洗溻湯) /  음식창(陰蝕瘡)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쌍합탕(雙合湯) /  마목(麻木)
양혈해독환(凉血解毒丸) /  하감창(下疳瘡)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  혈허현훈(血虛眩暈)조잡(嘈雜)
장원환(壯元丸) /  정충(怔忡)건망(健忘)
지모탕(知母湯) /  노수(勞嗽)
지황산(地黃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적예(赤翳)백막차정(白膜遮睛)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경계(驚悸)정충(怔忡)
청경사물탕(淸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월경통(月經痛)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  월경통(月經痛)
축어탕(逐瘀湯) /  치(痔)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중풍(中風)허증(虛症)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 /  붕루(崩漏)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2] /  신허(腎虛)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  포랭무자(胞冷無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