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산(小蒜) / 산달래

 익생양술에서 "산달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소산(小蒜) / 산달래"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이른 봄~늦은 가을
40~60cm 취급요령 날것으로 쓴다.
생지 산과 들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온포기 4~8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많이 먹을수록 몸에 이롭다.
꽃줄기의 밑 부분에서 2~4개의 잎이 속이 빈 선형으로 나온다. 잎을 자른 단면은 삼각형이고 윗면에 홈이 패여 있다. 빛깔은 흰빛이 도는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꽃줄기를 감싼다.
5~6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는데 10여 개의 잔꽃이 꽃줄기 끝에 모여 탁구공 만하게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 밑 부분에 있는 2개의 꽃턱잎은 꽃이 피기 전에 완전히 꽃차례를 둘러싸는데 막질이며 끝에 긴 부리가 있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고 길이 4mm 정도인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다. 수술대는 꽃덮이 조각보다 길게 밖으로 나온다.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자주색이고 한 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7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열매 속에 까만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돌달래ㆍ큰달래라고도 한다. 땅 속에 지름 1.5cm 정도인 넓은 달걀꼴 또는 공 모양의 하얀 비늘줄기가 있는데 막질로 덮여 있고 늦가을에 잎이 나와서 겨울을 지낸다. 꽃은 모두 발달하지 않고 일부 또는 대부분이 둥근 살눈으로 변한다. 포기 전체에서 마늘 냄새와 같은 향이 난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비늘줄기와 연한 꽃줄기와 잎을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리고, 피로 해소에 효험이 있다.
소산(小蒜) / 산달래 비늘줄기
라틴명 Allii Macrostemi Bulbus
약재의 효능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관흉(寬胸)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소곡(消穀)  (소화를 돕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통양(通陽)  (양기(陽氣)가 한습(寒濕)이나 담(痰)이 막아 통하지 못하는 병증에 쓰는 방법임)
이규(利竅)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 잘 나오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설체(泄滯)  (체한 것을 내리는 효능임)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내한(耐寒)  (추위에 견디는 효능임)
거수(去水)  (수기(水氣)를 제거한다는 뜻의 용어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해사독(解蛇毒)  (사독(蛇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토고해독(吐蠱解毒)  (독기를 토해내고 풀어내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내로(耐老)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위(胃) , 폐(肺)
성미 신고(辛苦) , 온(溫)
주의사항 많이 먹어서는 안됨. 무체자(無滯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소산(小蒜)[1] /  토사(吐瀉)곽란(霍亂)
소산(小蒜)[2] /  학질(瘧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