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Melanteritum |
약재의 효능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보혈(補血) (보법의 하나로서 혈허증(血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작용부위 | 비(脾) |
성미 | 산삽(酸澁) , 양(凉)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많이 쓰면 안됨. |
약재사용처방 | 녹반환(綠礬丸) / 황달(黃疸) |
소식산(消蝕散) / 옹저(癰疽) | |
유조입효산(油調立效散) / 습개(濕疥) | |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 / 황달(黃疸) , 황반(黃胖) | |
조장환(釣腸丸) / 치(痔) , 탈항(脫肛) | |
취후산(吹喉散)[3] / 후폐(喉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