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량강(高良薑) / 고량강

동의보감에서 "고량강(高良薑) / 고량강"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고량강(高良薑) / 고량강
라틴명 |
Alpiniae Officinarum Rhizoma |
약재의 효능 |
온위(溫胃)
(위(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행체(行滯)
(기(氣)나 물질 따위가 체한 것을 소통시켜 주는 효능임)
|
|
익성(益聲)
(목소리를 좋게 만드는 효능임)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선조(宣燥)
(인체에 쌓인 습(濕)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효능임)
|
|
건비위(健脾胃)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
|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
|
택안색(澤顔色)
(얼굴을 윤택하게 하는 효능임)
|
|
온중산한(溫中散寒)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한사(寒邪)를 제거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성미 |
신(辛)
, 열(熱)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