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Cera Flava |
약재의 효능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익기(益氣)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수삽(收澁) (정기(精氣)가 흩어지고, 흐르고 떨어져 나간 것을 수렴(收斂)하는 치료 방법임) | |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속절상(續絶傷)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양위지리(養胃止痢) (위기(衛氣)를 증강시켜 이질(痢疾)을 멎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위(胃) |
성미 | 감담(甘淡) , 평(平)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약재사용처방 | 계내금산(鷄內金散)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후폐(喉閉) |
우즙산(藕汁散)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활룡산(活龍散) / 상한양독(傷寒陽毒) |

라틴명 | Mel |
약재의 효능 | 익기(益氣)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
양폐(養肺) (윤폐(潤肺)와 같은 것으로 폐(肺)를 윤택(潤澤)하게 하는 효능임)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활장(滑腸) (장(腸)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화영위(和營衛) (위기(衛氣)와 영혈(營血)을 조화시키는 효능임) | |
통삼초(通三焦) (삼초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조비위(調脾胃) (비위(脾胃)를 조절하는 효능임) | |
제심번(除心煩) (심장이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 |
화백약(和百藥) (백가지 약재의 약효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화감활윤(和甘滑潤) (달콤한 맛으로 조화시켜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심(心)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여지고(荔枝膏) / 소갈(消渴) |

라틴명 | Cera Flava |
약재의 효능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익기(益氣) | |
수삽(收澁) (정기(精氣)가 흩어지고, 흐르고 떨어져 나간 것을 수렴(收斂)하는 치료 방법임) | |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속절상(續絶傷)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양위지리(養胃止痢) (위기(衛氣)를 증강시켜 이질(痢疾)을 멎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위(胃) |
성미 | 감담(甘淡) , 평(平)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약재사용처방 | 감응원(感應元) / 적백리(赤白痢) , 적리(積痢) , 구리(久痢) |
납(蠟)[1] / 농혈리(膿血痢) | |
빈랑산(檳榔散) / 신장풍창(腎臟風瘡) | |
소감원(蘇感元) / 적리(積痢) , 구리(久痢) |


라틴명 | Mel Alba |
약재의 효능 | 익기(益氣)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
양폐(養肺) (윤폐(潤肺)와 같은 것으로 폐(肺)를 윤택(潤澤)하게 하는 효능임)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활장(滑腸) (장(腸)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화영위(和營衛) (위기(衛氣)와 영혈(營血)을 조화시키는 효능임) | |
통삼초(通三焦) (삼초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조비위(調脾胃) (비위(脾胃)를 조절하는 효능임) | |
제심번(除心煩) (심장이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 |
화백약(和百藥) (백가지 약재의 약효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화감활윤(和甘滑潤) (달콤한 맛으로 조화시켜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폐(肺) |
성미 | 감(甘) , 평(平) |
주의사항 | 비위불실(脾胃不實), 신기허활(腎氣虛滑), 습열담체(濕熱痰滯), 장활설사(腸滑泄瀉)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소아에게 많이 먹여서는 안됨. |
약재사용처방 | 감리고(坎離膏)[1] / 토혈(吐血) , 수혈(嗽血) |
경옥고(瓊玉膏)[2] / 노채(勞瘵) | |
경지고(瓊脂膏) / 조증(燥證) | |
밀지전(蜜脂煎) / 실음(失音) , 성시(聲嘶) | |
박하밀(薄荷蜜) / 설상생창(舌上生瘡) | |
백밀(白蜜) / 탕화상(燙火傷) | |
백화고(百花膏) / 두창신양(痘瘡身痒) | |
보수고(補髓膏) / 허로(虛勞) | |
보정고(補精膏) / 허로(虛勞) | |
비전삼선고(秘傳三仙糕)[1]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삼백음(三白飮) / 상한발광(傷寒發狂) | |
소자전(蘇子煎) / 기수(氣嗽) | |
오신탕(五神湯) / 부인토혈(婦人吐血) | |
요량환(嘹喨丸) / 성아(聲啞) | |
윤장고(潤腸膏) / 열격(噎膈) , 반위(反胃) | |
윤폐고(潤肺膏)[1] / 허로(虛勞) , 폐위(肺痿) | |
저부탕(猪膚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치태의불하일방(治胎衣不下一方) / 포의불하(胞衣不下) | |
치포의불하일방(治胞衣不下一方)[1] / 포의불하(胞衣不下) | |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필승고(必勝膏) / 두후옹절(痘後癰癤) | |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 |
현상고(玄霜膏)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환정자금단(還睛紫金丹) / 난현풍(爛弦風) |

라틴명 | Apis Nidus |
약재의 효능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공독(攻毒) (사독(邪毒)을 제거하는 방법. 사독이 표(表)에 있는 경우에는 발한시키고, 리(裏)에 있는 경우는 대소변을 통해 배출시킨다.)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위(胃) |
성미 | 감(甘) , 소독(小毒)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찰아지통방(擦牙止痛方) / 치통(齒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