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Mori Cortex |
약재의 효능 |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해갈(解渴)
(갈증(渴症)을 풀어주는 효능임)
|
|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산어혈(散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사폐평천(瀉肺平喘)
(폐기(肺氣)를 배출시키면서 기침을 멈추는 효능임)
|
|
행수소종(行水消腫)
(수기(水氣)를 소통시켜 부스럼이나 종창(腫瘡)을 삭히는 효능임)
|
작용부위 |
폐(肺)
|
성미 |
감(甘)
, 한(寒)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동행자(東行者)가 좋음. 폐허무화(肺虛無火), 풍한해수자(風寒咳嗽者)는 쓰지 말 것.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1] /
폐열후성(肺熱喉腥)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2] /
해수(咳嗽)
, 천촉(喘促)
, 화천(火喘)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3] /
수천(水喘)
|
|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
담천(痰喘)
|
|
가감삼요탕(加減三拗湯) /
풍수(風嗽)
|
|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2] /
기천(氣喘)
|
|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
|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
|
계명환(鷄鳴丸)[2] /
천수(喘嗽)
|
|
계소산(鷄蘇散) /
육혈(衄血)
|
|
관동화산(款冬花散) /
담연옹성(痰涎壅盛)
, 풍수(風嗽)
|
|
구보음(九寶飮) /
구수(久嗽)
, 한수(寒嗽)
|
|
구선산(九仙散) /
구수(久嗽)
|
|
국화산(菊花散)[2] /
수발황락(鬚髮黃落)
|
|
궁신산(芎辛散) /
열담실음(熱痰失音)
|
|
귤소산(橘蘇散) /
한수(寒嗽)
, 신열유한(身熱有汗)
|
|
길경탕(桔梗湯)[5] /
폐옹(肺癰)
|
|
대계음자(大薊飮子)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대영수탕(大寧嗽湯) /
노수(勞嗽)
|
|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기역(氣逆)
, 심흉비통(心胸痞痛)
|
|
도체통경탕(導滯通經湯) /
수종(水腫)
|
|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롱(耳聾)
, 이명(耳鳴)
|
|
매화탕(梅花湯) /
소갈(消渴)
|
|
맥문동탕(麥門冬湯)[1] /
혈설(血泄)
, 해역상기(咳逆上氣)
, 혈일(血溢)
, 학질(瘧疾)
|
|
목향소창원(木香消脹元) /
적취(積聚)
, 창만(脹滿)
|
|
방기탕(防己湯) /
자종(子腫)
|
|
백룡고(白龍膏) /
악창(惡瘡)
|
|
백합단(百合丹) /
귀흉(龜胸)
|
|
보폐탕(補肺湯) /
노수(勞嗽)
|
|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
|
복령탕(茯苓湯)[1] /
통비(痛痺)
, 부종(浮腫)
|
|
분기음(分氣飮) /
천급(喘急)
, 수종(水腫)
|
|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
|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
|
사백산(瀉白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
|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
|
사피음(四皮飮)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사화청폐탕(瀉火淸肺湯) /
화천(火喘)
|
|
삼백산(三白散) /
퇴산(㿉疝)
|
|
삼소온폐탕(蔘蘇溫肺湯) /
한천(寒喘)
|
|
삼출조중탕(蔘朮調中湯) /
열수(熱嗽)
|
|
상근백피(桑根白皮) /
소갈(消渴)
|
|
상백피(桑白皮)[3] /
폐기천만(肺氣喘滿)
, 토혈(吐血)
, 해수(咳嗽)
|
|
상백피(桑白皮)[4] /
천급(喘急)
, 수종(水腫)
|
|
상백피(桑白皮)[5] /
금창(金瘡)
|
|
상백피산(桑白皮散) /
각기(脚氣)
|
|
상백피탕(桑白皮湯) /
소갈(消渴)
|
|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기산(生肌散)[3] /
옹저(癰疽)
|
|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
|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2] /
온역(瘟疫)
|
|
신비탕(神秘湯) /
수천(水喘)
|
|
십수환(十水丸) /
십종수기(十種水氣)
|
|
연교산(連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
|
영양각산(羚羊角散)[3] /
해정(蟹睛)
|
|
영폐탕(寧肺湯)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오피산(五皮散) /
수종(水腫)
|
|
오호탕(五虎湯) /
한천(寒喘)
|
|
옥화산(玉華散) /
화천(火喘)
|
|
온금산(溫金散) /
노수(勞嗽)
|
|
용뇌안신환(龍腦安神丸) /
오간(五癎)
|
|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윤폐제수음(潤肺除嗽飮) /
구수(久嗽)
|
|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
|
인삼관화고(人蔘款花膏) /
한수(寒嗽)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1] /
폐실열(肺實熱)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2] /
열수(熱嗽)
|
|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
|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 /
풍한천(風寒喘)
|
|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
|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실음(失音)
, 담수(痰嗽)
|
|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
노수(勞嗽)
, 폐위(肺痿)
|
|
인삼평폐산(人蔘平肺散) /
폐위(肺痿)
|
|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
|
일청음(一淸飮) /
황달(黃疸)
|
|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
담천(痰喘)
|
|
자소음자(紫蘇飮子) /
한수(寒嗽)
|
|
자완탕(紫菀湯)[1] /
변혈(便血)
, 해역상기(咳逆上氣)
|
|
자완탕(紫菀湯)[2] /
자수(子嗽)
|
|
적소두탕(赤小豆湯) /
수종(水腫)
, 창개(瘡疥)
|
|
전생백출산(全生白朮散) /
자종(子腫)
|
|
정력산(葶藶散) /
폐옹(肺癰)
, 천급(喘急)
|
|
정력환(葶藶丸)[1] /
용수(涌水)
|
|
정양탕(正陽湯) /
목적(目赤)
, 기울(氣鬱)
, 요수통(腰脽痛)
, 황달(黃疸)
|
|
정천탕(定喘湯)[1] /
폐허구천(肺虛久喘)
|
|
정천탕(定喘湯)[2] /
효천(哮喘)
|
|
정폐탕(定肺湯) /
기천(氣喘)
|
|
조각원(皂角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지황탕(地黃湯) /
이중청(耳重聽)
|
|
천궁복령탕(川芎茯苓湯) /
착비(着痺)
|
|
천령개산(天靈蓋散) /
노채(勞瘵)
|
|
천문동음(天門冬飮) /
자수(子嗽)
|
|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
|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
|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
|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
|
청폐탕(淸肺湯)[2] /
담수(痰嗽)
, 구수(久嗽)
|
|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담결(痰結)
, 담궐(痰厥)
|
|
치임신부종일방(治妊娠浮腫一方)[2] /
자종(子腫)
|
|
치자종일방(治子腫一方)[2] /
자종(子腫)
|
|
택사탕(澤瀉湯)[2] /
자림(子淋)
|
|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건해(乾咳)
, 건수(乾嗽)
, 성아(聲啞)
|
|
팔미관동화산(八味款冬花散) /
한수(寒嗽)
|
|
패모산(貝母散)[1] /
화수(火嗽)
|
|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
|
평기산(平肌散) /
부골저(附骨疽)
|
|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
|
평폐탕(平肺湯) /
수천(水喘)
|
|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효천(哮喘)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6] /
폐수(肺嗽)
|
|
행삼산(杏蔘散)[1] /
외상천급(外傷喘急)
|
|
행삼산(杏蔘散)[2] /
천급(喘急)
, 해수(咳嗽)
|
|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
|
|
행소탕(杏蘇湯) /
한수(寒嗽)
|
|
행인반하탕(杏仁半夏湯) /
기천(氣喘)
|
|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
|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구창(口瘡)
, 중설(重舌)
|
|
화개산(華蓋散) /
한수(寒嗽)
|
|
환골단(換骨丹)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활혈산(活血散)[2] /
골절(骨折)
|
|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노손(勞損)
, 허로(虛勞)
|